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정치권·지자체 '엇박자'

입력 2011-04-13 10:50:25

서상기 의원 추진 10조 규모 삼각벨트…경북 "나눠먹기 비칠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두고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가 엇박자를 보이고 있어 소통부재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당초 계획인 3조5천억원 규모의 과학비즈니스벨트를 10조원 규모로 키우고 삼각벨트 형태로 추진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해 정치권과 자치단체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더구나 지역 정치권 내에서도 유치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일면서 내부 단속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과학벨트를 10조원대로 덩치를 키워 영'호남, 충청권을 잇는 '내륙삼각R&D벨트화'로 추진하자는 입장인 교육과학기술위 서상기 의원은 "삼각벨트에 대한 오해가 많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민주당 김영진 의원과 함께 의원 100인 서명으로 추진 중인 삼각벨트화가 최근 과학벨트 쪼개기라는 오해를 받고 있다는 얘기다.

서 의원은 12일 열린 교과위 전체회의에서도 이주호 교과부 장관을 상대로 "과학벨트는 법이 정한 대로 한곳에 몰아서 정하고 나머지 지역과 국가 전체로 봐서는 내륙삼각R&D벨트로 만들어 제대로 키우고 10조원 정도의 예산을 책정해 단계적으로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장관은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로 논의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 장관은 이어 과학벨트 입지 발표를 "최대한 빨리 하려고 한다. 5월 말에서 6월 초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경북도의 입장은 서 의원과는 완전히 다르다. 경북도 관계자는 서 의원의 '삼각벨트화'에 대해 "나눠먹기로밖에 비치지 않는다"며 "과학 인프라가 아주 부족한 광주'호남권만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국회에서 뛰고 있는 의원과 유치 추진 중인 지자체가 엇나가고 있는 꼴이다.

지역 정치권도 일단은 '삼각벨트화'를 강하게 주장하지 말자는 입장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이달 8일 대구 의원 간담회에서 의원들은 "과학벨트 유치 경쟁이 한창인데 삼각벨트화 이야기가 나오니 분산 배치로 오해를 받는 상황이 돼 지금은 조심해야 할 것 같다"며 "대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2004년부터 이야기한 삼각테크노벨트가 이번 내륙삼각R&D벨트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필요하다는 데 입장을 모았다"고 밝혔다.

경북도 김학홍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연구환경과 정주여건이 좋은 경북, 대구, 울산이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있고 해외에서도 이 지역을 검증된 곳으로 여기는 분위기"라며 "정부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지 평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 인프라가 좋은 대구'경북'울산이 함께 유치를 추진 중이고 야권에서는 '형님벨트'라고 무차별로 공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지역 정치권만은 조용히 뒤에서 지원을 하는 것이 나서서 떠드는 것보다는 더 낫다는 지적도 있다. 정치싸움거리가 돼 신공항 백지화처럼 결과적으로 지역이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