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화 대안은 '꼼수'…정부, 'TK 민심 달래기용 대책' 고심

입력 2011-03-30 10:37:20

동남권 신공항이 백지화 쪽으로 결정되면서 청와대와 여권 수뇌부가 'TK 민심 달래기용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신공항 입지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 발표를 앞둔 30일 오전 청와대에선 긴급 수석비서관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지만 "대형 국책사업의 분산 방안은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지역이 있어 쉽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전 열린 한나라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선 신공항 관련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

현재 정치권에서 거론되고 있는 TK 지원책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과정에서 대구경북 배려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땅값 인하 ▷서울역~인천공항 구간의 고속철도(KTX) 조기 개통 등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최근 "대구경북에 공항보다 기업이 가는 게 더 좋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여권 핵심부의 '애드벌룬 띄우기'에 대해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거론된 적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실행 가능성 역시 현실적으로도 낮아 보인다. 여론의 포화를 순간적으로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분석이 강하다. 설사 모두 실현된다고 해도 신공항의 파급효과와 비교할 때는 '언 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경우 이 대통령이 이미 "국가백년대계를 염두에 두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로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밝힌 만큼 신공항이 안 된다고 대구경북 분산 배치를 추진하는 것은 정치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이미 충청권에서는 '정치적 절충'이라며 반발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대구 신서동에 들어설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한 지원책도 흘러나오고 있다. 함께 지정된 충북 오송단지에 비해 훨씬 높은 분양가를 낮춰 기업 유치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것이다.

대구경북 주민들의 인천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해 인천공항 구간에 KTX를 조기 개통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9일 "경부고속철도의 광명역이나 천안아산역에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KTX를 5년 안에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KTX의 속도도 350㎞ 수준으로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또한 수도권만 더욱 좋아지는 결과를 낳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한구(대구 수성갑) 의원은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대구경북이 지역 이익만을 위해 신공항을 추진해왔다는 식으로 오해받을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