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전 방독면·매뉴얼도 엉성… "비상구급박스 보급해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국내 원전의 안전성 문제가 내진설계 등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면서 정작 원전주변 주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장비와 사고대비 매뉴얼은 보완되지 않고 있다.
특히 원전 주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방독면, 방호복, 약품 등이 충분하지 않은데다 관리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진군은 원전사고 대비 비상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원전주변 8~10㎞이내(죽변면'북면'울진읍 일부) 주민 1만6천 명에게 1990년대 중반 가구당 2개의 방독면을 지급했으나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울진군은 현재 읍면 단위로 방호복 500벌, 방독면 2천700개를 보관하고 있으며 요오드(방사선옥소)에 대비한 약품 '안정화 옥소(KI)'는 읍면 19만1천 정, 울진원전 2만 정 등 모두 21만1천 정이 있다.
그러나 울진 비상계획구역 주민 수에 비해 방독면이 턱없이 부족하고 방호마스크, 방호우의 등은 아예 없다. 게다가 같은 비상계획구역에 포함돼 있는 삼척시 노경리와 산양리, 월천리 주민 628명의 경우 방호약품을 전혀 구비하지 않고 있어 피폭에 무방비 상태인 실정이다.
울진민간환경감시기구 관계자는 "원전사고에 대비해 방독면, 우의, 랜턴, 라디오, 약품 등을 갖춘 비상구급 박스를 제작해 보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진군 관계자는 "광범위한 방사능 누출이 발생할 경우 대처가 늦을 수 있으며, 의료원 내부에도 방사능 전문의와 시설이 미비해 의료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며 "비상계획구역 내 읍면은 반드시 약품을 보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상시 방제훈련 등 대응 매뉴얼을 점검해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비상계획구역 내 울진 주민들은 원전사고가 나면 차량으로 30분가량 떨어진 후포초교 등 31개 대피소로 이동해야 하는데, 대부분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은데다 운송체계 역시 허술하다. 또 원전이 있는 자치단체는 원전사업자와 함께 4년에 한 번'합동훈련', 교육과학기술부는 5년에 한 번 '연합훈련'을 벌여야 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울진은 해마다 국가와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150억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지만, 원전 사고에 대비한 안전장비 구입에는 예산을 거의 투입하지 않고 있다.
울진군 관계자는 "원전 지원금이 주민 숙원사업 및 민원해결을 위한 사업에 많이 쓰였던 것이 사실이다"며 "앞으로 방호마스크 등 주민을 보호하는 장비 구입에도 어느 정도 예산을 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울진'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