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미래연대 합당 후유증 우려

입력 2011-03-04 10:57:06

3월 내 합당절차 마무리, 총선 지역구 충돌 불가피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가 미래희망연대와의 합당 추진을 밝히면서 179석의 거대 여당 탄생이 예고되고 있다. 3월 내 결판으로 합당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4·27 재보궐선거의 판세가 낙관적이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안 대표는 2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미래희망연대와의 합당은 국민에 대한 약속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즉시 합당 절차를 밟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합당에) 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합당에 따른 후유증도 만만찮아 보인다. 8명 모두 비례대표인 미래희망연대 의원 대부분이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출마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18대 총선에서 친박바람을 일으켰던 '친박연대'의 후신인 미래희망연대 소속 의원은 김을동·김정·김혜성·노철래·송영선·윤상일·정영희·정하균 의원 등이다. 합당협상에서는 공천 문제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래희망연대는 한나라당의 '러브콜'에 두고보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격적으로 한나라당과의 합당을 선언하면서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았음에도 이후 1년 가까이 되도록 합당 추진이 지지부진했기 때문이다. 표면적 이유는 18대 총선 당시 차입금에 대해 부과된 희망연대의 증여세(13억원) 미납 문제였지만 또다시 선거를 앞두고 이용당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갖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과 미래연대의 합당은 양당 합동 최고위원회의에서 합당을 의결한 뒤 선관위에 신고하면 효력이 발생한다. 합당이 되면 한나라당내에서 '친박'세력이 그만큼 늘어나게 돼 친이 측의 입장도 주목된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