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대구서도 해냈다

입력 2011-02-15 10:13:34

계명대 동산병원 지역 처음

혈액형 불일치 신장 이식에 성공한 계명대 동산병원 신장 이식팀 박성배, 김현철, 조원현 교수와 전공의 최고 씨(오른쪽부터).
혈액형 불일치 신장 이식에 성공한 계명대 동산병원 신장 이식팀 박성배, 김현철, 조원현 교수와 전공의 최고 씨(오른쪽부터).

혈액형이 맞지 않는 장기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신장 이식이 대구 지역에서 처음 성공했다.

계명대 동산병원 신장이식팀은 지난 1월 28일 A형 혈액형을 가진 어머니(52)의 신장을 만성신부전을 앓고 있는 B형 딸(25)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신장은 환자와 제공자 간 수혈이 가능한 혈액형일 경우에만 이식이 가능했다. 혈액형이 맞지 않는 사람끼리 신장 이식을 할 경우 혈액 내에 있는 혈액형 항체가 이식 장기를 공격, 심한 거부반응을 일으켜 이식이 실패하게 된다.

동산병원은 이식 전 이중필터 혈장교환술로 혈액형 항체를 제거하는 동시에 항체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B림프구를 감소시켜 이식 수술 후 거부반응 없이 이식을 성공시켰다. 환자는 거부반응 없이 신장 기능을 완전 회복했다.

환자 치료를 담당하는 신장내과 김현철 교수(현 대한이식학회 회장)는 "환자와 제공자 사이의 혈액형 불일치는 더 이상 신장 이식의 장벽이 아니다"고 밝혔고, 수술 집도를 맡았던 조원현 교수(현 대한이식학회 이사장)는 "혈액형이 맞지 않는 사람들 사이의 신장 이식 활성화는 앞으로 국내 이식 장기 부족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과 같은 '혈액형 불일치 신장 이식'은 현재 부산의 2곳과 서울의 일부 대형병원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대구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