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로운 발전 전기 맞은 경북 동해안

입력 2010-12-29 10:43:08

정부가 29일 경북 동해안을 에너지'관광 벨트로 조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동해안권 발전 종합 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경북, 강원, 울산의 15개 시군구에 24조 8천억 원이 투입돼 119개 세부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경북권역 동해안의 경우 동해안 국제 원자력 클러스터, 울릉도 녹색 섬, 포항 수소 연료전지 파워밸리, 울진 해양과학 콤플렉스 등의 사업을 위해 8조 4천606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생산유발효과가 48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가 21조 원에 이르고 일자리도 26만 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로써 경북 동해안은 소외와 정체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경북 동해안이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 거점으로 거듭날 날도 머지않았다.

경북 특히 동해안권은 김영삼 정부 이래 국토 개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다. 정부의 국토 개발 계획이 호남과 충청 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리면서 이 지역은 '오지'로 전락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로 연결망이 부실해 여전히 접근성이 떨어진다. 특별히 내세울 변변한 산업도 없다. 해수욕장이나 민박, 무공해 농산물 생산 등이 고작이다. 그 결과 인구가 줄고 지역 경제는 바닥으로 내려앉았다.

동해안권 개발 계획은 이런 현실을 바꿀 수 있는 전기가 될 것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체장과 지역 정치권의 비상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 첫 번째 과제는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이다. 올 예산 국회처럼 정당한 사업 예산이 '형님 예산'으로 매도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리고 정부가 바뀐 다음에도 사업이 계속성을 유지해야 한다. 사업 규모가 '정치적 고려'에 의해 축소되거나 왜곡되는 일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