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이 정부의 복합환승센터 시범 사업으로 확정돼 역세권 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 대구시는 몇 해 전부터 동대구역 역세권 개발에 매달렸으나 그동안 진척을 보지 못했다. 2008년 복합환승센터 건립 용역을 발주한 뒤 정부가 전국 공모를 통한 시범 사업 선정을 예고하고서야 사업 추진이 가시화됐다. 복합환승센터 시범 사업 선정으로 동대구역은 드디어 역세권 개발에 전기를 마련했다.
하지만 걱정이 적잖다. 시범 사업 선정으로 동대구역 역세권 개발이 가능해졌으나 동대구역만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게 아니다. 국토해양부는 동대구역 외에 익산역, 울산역, 광주 송정역은 올해 시범 사업으로, 부산 부전역'동래역, 남춘천역, 경기 대곡역은 내년 시범 사업으로 선정했다. 게다가 국토부는 당초 복합환승센터의 중요도에 따라 국가기간센터와 광역센터로 구분해 국비를 차등 지원할 예정이었으나 어제 시범 사업을 선정하면서 이 같은 구분을 없애고 일률 지원 방침을 확정했다. 동대구역에 대한 정부 지원이 대구시가 당초 기대한 270억 원 선에서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 지원이 줄면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민자 사업자인 신세계의 입김이 거세질 수밖에 없다. 대구시는 복합환승센터에 KTX를 비롯해 도시철도, 고속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수단을 한곳에 집결시킬 예정이다. 환승 시설 뿐 아니라 고밀도 복합 개발 방식으로 오피스, 컨벤션, 문화 시설 등을 배치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역경제에 2조 원 이상의 생산효과와 1만 5천 명 전후의 고용유발효과를 기대하면서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를 대구의 중추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랜드마크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민자 사업자인 신세계도 4천억 원에서 5천600억 원으로 투자 규모를 늘리면서 개발 면적도 14만㎡에서 26만㎡로 확대한다고 한다. 반가운 소식이긴 하다. 그러나 신세계가 자선사업을 목적으로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에 나선 게 아닐 것이다. 자칫 동대구역 역세권 개발과 복합환승센터가 대구시와 대구 시민을 위한 게 아니라 신세계의 사업 확장에만 도움을 주는 개발로 전락할 수도 있다. 복합환승센터에 백화점 등 판매 시설만 허가한 꼴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가 대구의 랜드마크가 되고 중추 관리 기능을 감당하는 인프라가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