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낙동강 시대-스토리가 흐르는 마을] (19)고령 오사마을

입력 2010-11-24 07:53:56

하늘에서 내려다본 오사마을. 남쪽 낙동강과 들판을 배경으로 제석산이 마을을 포근히 감싸 안고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오사마을. 남쪽 낙동강과 들판을 배경으로 제석산이 마을을 포근히 감싸 안고 있다.
고려시대 팔만대장경 경판이 서해, 남해, 낙동강을 거쳐 도착한 고령 개진면 오사마을 옆 개경포.
고려시대 팔만대장경 경판이 서해, 남해, 낙동강을 거쳐 도착한 고령 개진면 오사마을 옆 개경포.
오사마을에는 개진감자(사진 위)와 마늘 등 채소류가 대량 재배되고 있다.
오사마을에는 개진감자(사진 위)와 마늘 등 채소류가 대량 재배되고 있다.

가야산 깊은 골에서 두 물줄기가 흘러내린다. 골짜기 동쪽과 북쪽에서 각각 발원한 가천과 야천(안림천)은 서로 다른 길을 달려 고령읍에서 만난다. 가천은 성주 백운동 계곡을 거쳐, 야천은 합천 가야와 야로를 거쳐 40여㎞(100여 리)를 달린다. 두 하천은 고령 읍내를 반대편에서 서로 감싸 안으며 회천에서 만난다. 회천은 다시 고령 개진면을 거쳐 우곡면과 합천 덕곡면에 이르러 낙동강에 합류한다.

14세기 팔만대장경이 고령 개진면 낙동강 개산포(開山浦)나루에 도착했다.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이 전란을 피해 강화도 선원사에서 합천 해인사로 옮기는 길이었다. 고령 개진면 오사1리 개진초등학교(옛 절터) 터에서 수도하던 스님을 비롯해 영남 일대의 많은 승려들은 이 팔만대장경 이운(移運)길에 동원됐다. 경판은 강화도에서 서해안을 타고 내려와 남해안을 거쳐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온 것이다. 영남 지역 승려들은 개산포나루에 도착한 경판을 머리에 이고 어깨에 지고 옮겼다고 한다. 고령 열뫼재, 고령읍, 낫질 신동재, 합천 야로를 거쳐 해인사까지 운반했다는 것. 이때부터 개산포는 개경포(開經浦)로 불렸다. '경전을 풀어내린 나루'라는 뜻이다. 고령읍에서 해인사까지의 경판 이동 루트는 바로 회천을 지나 야천을 따라 가야산으로 향하는 낙동강 지류 물길과 나란히 이어진다. 개경포는 일제강점기인 1914년부터 본 이름을 뺏겨 개포로 불리기 시작했다. 일제가 애국의 혼을 말살하기 위해 '경'(經)자를 빼게 한 것이다.

◆불법을 지킨 산과 경판을 옮긴 강

고령군 개진면 오사1리 오사(吾士)마을. 개진면은 개포와 진촌의 첫 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동쪽은 낙동강을 경계로 대구 달성군 논공읍·현풍면·구지면, 서쪽은 회천을 경계로 고령읍, 남쪽은 고령 우곡면, 북쪽은 성산면과 각각 맞닿아 있다. 오사마을은 동서로 길게 뻗은 제석산(389m)이 들판과 낙동강이 있는 남쪽을 제외한 3개 방향을 포근히 감싸 안은 형국이다.

오사리는 오사, 광도, 나룻가 등 3개의 자연마을이 있었다. 오사2리 광도마을은 옛날 낙동강 수운을 이용하던 사람들이 많아 마을이 '넓은 길'과 같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남해 바닷가에서 생산된 해산물과 소금이 배로 올라와 보부상들에 의해 이 마을을 지나 고령 성산면 어실로 넘어가면서 왕래가 잦았다는 것. 지금은 사라진 나룻가마을은 낙동강 건너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의 도동나루로 건너가는 길목에 있다고 이름이 붙여졌다.

제석산이 감싼 오사마을은 남쪽으로 들판과 낙동강을 건너 도동서원을 마주하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가장 안쪽 산기슭에는 고령중학교 개진분교와 개진초교가 자리 잡고 있다. 면소재지도 아닌 지역에 초등학교를 비롯해 중학교 분교까지 있다는 점이 이 마을의 옛 위상을 가늠케 한다.

서창덕(72) 씨는 "4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개진초교에 다니던 학생이 700명이나 됐지만, 지금은 열댓 명 정도"라며 "지금은 주민들이 50여 명이지만, 한때 400명이 넘을 때도 있었다"고 말했다.

오사는 옛날 마을 뒷산(제석산) 기슭에 절이 있었다고 '불당골'로도 불렸다. 제석산의 이름 자체가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 제석천(帝釋天)에서 따온 것으로 미뤄볼 때 오사와 불교를 떼놓고 볼 수 없는 대목이다. 제석산 기슭의 절에서 다섯 명의 도사가 났다고 오사(五士)로 불리다 오사(吾士)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그 절터에는 일제강점기 때 개진초등학교가 세워졌고, 현재 절에서 사용하던 우물의 흔적만 남아 있다. 주민들은 고려시대 팔만대장경이 강화도에서 해인사로 옮겨질 당시 마을 뒷산 기슭에 있던 절의 승려들이 경판을 옮기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교통과 물류의 요충지

오사마을과 옆 개포마을은 고대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수운교통과 물류의 핵심 요충지였다.

가야산을 모태로 한 대가야시대 이곳은 낙동강을 통해 왜(倭)와 중국과 교류하고 교역하는 주요 루트였다.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에는 왜병들이 수운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이곳에 자주 나타나 주민들을 많이 괴롭혔다고 한다. 1592년 6월 2일에는 의병대장 송암 김면의 군사와 왜병들이 맞붙은 곳이기도 하다. 김면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왜적선 2척에 나눠 탄 왜병들과 격전을 벌여 큰 전과를 올렸던 곳이다. 김면 장군은 왜병 1천600여 명을 죽이고, 궁중보물을 빼앗아 행재소(임금이 임시로 머무르는 별궁)로 보냈다는 것.

또 조선시대 말까지 세곡, 군량미 등 농산물을 운송하고, 부산 소금을 옮기던 수로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곡식과 소금을 실어 나르는 수십 척의 배와 수백 명의 사람들이 붐볐던 곳이다. 이와 관련해 강변에는 옛날 곡식과 소금을 보관하던 큰 창고가 있었다고 한다. 1899년 제작된 고령현 지도에도 개진면 낙동강변에 설치한 강창(江倉)이 나타나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 창고 주변에 순라까지 돌았다고 한다. 가을이면 세금으로 받는 곡식이 수만 섬에 이르렀고, 화적떼가 때때로 몰려왔기 때문에 이를 지켜야만 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개진면 포구에 들어온 소금이 고령은 물론 합천, 성주, 거창, 금릉 일대 내륙지방으로 운반됐다"며 "영남 내륙에서 생산된 곡물도 모두 여기서 모여 부산으로 내려갔다"고 말했다. 지금도 개진면 일대 강변의 넓은 들판을 창고가 있었다고 창야(倉野)라고 부른다.

◆농수산물 생산의 젖줄

오사마을 주변 낙동강 나루는 농산물과 소금배의 정착지였지만, 강 건너 마을과의 교류 통로이기도 했다.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사람들은 강을 건너 오사마을 앞 넓은 들판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개진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들을 위해 도동나루와 오사나루를 이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1980년대까지 오사마을 주변 낙동강은 고령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어장이기도 했다. 많은 어부들이 고기잡이로 생계를 이었고, 나룻배도 10여 척에 이르렀다고 한다. 당시 어부들은 물고기를 날로 먹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문에 간디스토마에 걸려 죽는 사람들도 종종 나타났다는 것. 하지만 80년대 초 강변에 제방을 조성하고, 강 수질도 크게 나빠지면서 배와 고기잡이가 대부분 사라졌다.

낙동강의 풍부한 수량은 조선시대는 물론 지금까지 오사마을 앞 넓은 들판의 자양분이 되고 있다. 5월 말이면 오사마을 들판에는 흰색과 자주색의 감자 꽃이 환하게 피고, 비닐하우스에 수박이 익어간다.

마을 남쪽 앞길과 낙동강 사이 수천만㎡ 부지에는 쌀, 보리는 물론 무와 배추, 수박과 참외, 땅콩, 마늘 등이 풍부하게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강변 알칼리성 토질에 적합한 개진감자는 고령은 물론 전국적으로 알려졌다. 오사 주민들은 "4월 중순에서 7월 하순 사이에 나오는 여름철 개진감자는 전분이 많고 껍질이 얇아 구수한 맛에다 고혈압과 비만증에도 효과가 좋다"고 자랑했다. 하지만 낙동강 사업으로 제방을 마을 안쪽으로 깊숙이 쌓으면서 오사마을 감자밭을 비롯한 들판 절반 이상이 사업부지에 포함됐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공동기획:매일신문·(사)인문사회연구소

◇마을조사팀

▷작가 이원규 ▷사진 이재갑 ▷지도 신지혜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