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복지예산 전달체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야

입력 2010-09-29 10:51:09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복지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내년 복지 예산은 올해보다 5조 1천억 원이 늘어난 86조 3천억 원이다. 규모도 사상 최대고 전체 예산(309조 6천억 원)에서 차지하는 비중(27.9%)도 사상 최대다. 서민과 취약 계층 지원액이 늘었고 다문화가정 지원 등 새로운 제도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다른 분야의 예산은 줄거나 증가 폭이 미미해졌다. 성장 동력을 위한 예산이 그렇다. 연구'개발(R&D) 분야는 8.6% 늘었지만 사회간접자본(SOC)은 3.2% 감소했고 산업'중소기업'에너지 분야(0.4%)와 농림'수산'식품 분야(2.3%) 등은 증가율이 미미하다. R&D 예산도 실질적으로는 깎인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명박 대통령이 밝힌 대로 R&D 예산을 임기 내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끌어올리자면 관련 예산을 매년 10% 이상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번 예산안을 두고 포퓰리즘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볼 것만은 아니다. 우리 사회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성장도 중요하지만 사회 통합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를 방치하고서는 사회 통합은 불가능하다. 정부의 재정 지원 확대는 사회 통합의 첫 단추를 꿰는 작업이다.

'성장' 예산을 일부 유보하고 복지 예산을 늘린 만큼 이제 남은 과제는 복지 예산이 지원 대상자에게 잘 전달되도록 하는 일이다. 지난해와 같이 담당 공무원에 의한 유용과 횡령, 무자격자에 대한 부정 지급 등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시'군'구별로 집행하던 복지 급여 서비스를 전국별'가구별로 통합한 사회복지 통합 관리망을 구축했다. 그러나 새로 생겨난 지원 항목이 많은 만큼 이를 더 정교하게 보완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