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권두현 안동축제 관광조직위원회 사무처장

입력 2010-09-16 14:07:09

11년 동안 축적된 축제 콘텐츠 노하우로 기획력 한층 높였어요

"올해는 2008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본격적인 민간주도형 축제로 시작된 지 두 번째 축제입니다. 지난해 중단됐다가 다시 마련하기 때문에 11년 동안 지속해 온 축제 콘텐츠 노하우를 바탕으로 추진력과 기획력을 한층 더 높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권두현(45) 사무처장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성공요인으로 안동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역량을 첫손으로 꼽았다. 끊임없는 콘텐츠 개발과 함께 최저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으려는 노력이 성공요인이라는 것이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매년 10억~15억원의 비용으로 80만~100만 명의 관람객이 열흘간 흥겹게 놀다 갈 수 있도록 했다. 그 덕에 올해는 중앙정부 지원금과 시도 예산, 재단 자체 수입을 합해 약 33억원을 들여 축제를 꾸미게 된다. 권 처장은 축제방향에 대해 "자신을 감추고 마음 속 깊은 곳의 흥을 돋우는 탈을 매개로 일상을 벗어버리고 후련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보자는 게 올해 축제의 주된 목표"라고 밝혔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안동의 탈과 민속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세계적인 축제로 성장하면서 일궈낸 결과 중 하나는 '세계탈문화예술연맹'의 창립이다. 다른 하나는 월드헤리티지시티(세계문화유산도시연맹)에 안동이 준회원도시로 가입한 일이다. 권두현 처장은 "지난해 중단됐던 탈춤축제에 대한 관광객들의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크다. 특히 올해는 하회마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의미가 더 크다"며 "축제 중 동원되는 인원의 90%가 지역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68개 단체의 자발적 참여와 자매결연도시에서 파견하는 공연단인 만큼 민간형 축제로 자리를 굳건히 만들겠다"고 했다.

안동·엄재진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