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생활주택, 대구서도 날개다나

입력 2010-09-02 09:56:07

올해 인·허가 물량 6건, 169가구…규제완화로 문의도 부쩍

대구에도 처음으로 싱글족, 노인, 학생, 직장인 등 1, 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생활주택이 잇따라 들어선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지난해 5월 다양한 유형의 소형주택 공급을 위해 도입됐으나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업계의 관심을 끌지 못했으나 지난해 7월 건립 요건이 완화되면서 공급 물량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게다가 국회에 계류 중인 공급 가구 수를 확대하는 내용(150가구 미만→300가구 미만)의 주택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도시형생활주택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와 구청 등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물량은 6건, 169가구에 이른다. 제도가 첫 시행된 지난해에는 한 건도 없었다.

구별 인·허가 물량을 보면, ▷동구 3건(지저동 47가구·효목동 28가구·신암동 20가구) ▷서구 2건(평리동 2곳 각각 27가구) ▷중구 1건(삼덕동 20가구) 등이다.

대구시 건축주택과 도시형생활주택 담당자는 "7월부터 건축허가 대상이 기존 20가구 미만에서 30가구 미만으로 확대되는 등 요건이 완화되면서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한 주택사업자나 개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며 "현재 달서구와 중구에도 각 1건씩 신청이 들어와 구청에서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문의도 부쩍 늘었다. 동구청 관계자는 "지난해는 문의가 뜸했는데, 요즘은 절차·주차장 완화 규정·면적 제한 사항 등 구체적인 사항을 묻는 전화와 방문 상담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전국적으로도 인·허가 물량이 크게 늘었다. 국토해양부 집계 결과, 건립 요건이 완화되기 시작한 7월 한 달간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물량은 14건, 921가구로 전월의 633가구보다 45.5% 증가했다. 올 들어 7월 말까지 경우 4천740가구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천590가구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부산 578가구 ▷경기 547가구 ▷대전 518가구 ▷충남 476가구 ▷인천 392가구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원룸형'이 79%, '단지형 다세대' 13.7%, '단지형 연립'이 7.3%였다.

올 들어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5월부터 연말까지 8개월 동안 물량(1천576가구)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올해 정부의 도시형생활주택 공급 목표인 2만 가구에는 훨씬 못 미치는 규모이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도시형 생활주택=늘어나는 1, 2인 가구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도입된 새로운 주거 형태.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주택, 단지형 연립주택으로 나뉜다. 필요한 곳에 신속하고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종 주택건설 기준과 주차장을 비롯한 부대시설 등의 설치 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했다. 20가구 이상 150가구 미만으로 구성되며 '국토 계획·이용에 관한 법률' 상 도시 지역에만 지을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