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 등 이명박정부 3기 내각이 인사청문회의 벽을 넘지 못한 채 좌초하면서 정치권이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40대 총리를 전면에 부각시키면서 '공정한 사회'를 추진하겠다던 이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구상은 시작부터 차질을 빚게 됐고 '레임 덕 논란'도 다시 일고 있다. 행정 공백 역시 당분간 불가피하다.
청와대는 29일 오전 김태호 총리 후보자가 전격 사퇴하자 곧바로 후임 인선 작업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은 후임 후보자의 대략적 인선 기준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사 검증 작업이 대폭 강화될 수밖에 없어 인선에는 진통이 예상된다.
앞서 김태호 총리 후보자는 이달 8일 지명 이후 21일 만인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 그는 회견에서 "저의 문제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더는 누가 돼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저는 오늘 총리 후보직을 사퇴하고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각종 의혹에 대해서는 억울한 면도 있지만 모든 것이 제 부덕의 소치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믿음이 없으면, 신뢰가 없으면 총리직에 임명돼도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느냐"고 총리 후보직 사퇴 결심 배경을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회견에 앞서 임태희 청와대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정무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으며, 이 대통령은 이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리 후보자 사퇴 발표 직후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도 동반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후임 총리의 콘셉트는 '개혁'보다 '안정'이 우선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렴성을 인정받았거나 과거 청문회를 통과한 경험이 있는 전직 관료, 법관, 학자 출신에서 발탁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김황식 감사원장·조무제 전 대법관·김진선 전 강원지사·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는 주호영 특임장관·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 등이, 지식경제부 장관에는 조환익 코트라 사장·오영호 무역협회 부회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임태희 실장은 청와대의 부실 인사검증 논란과 관련, "인사시스템 전반에 대해 다시 점검하고 있다"며 "공정사회라는 기준에서, 역량과 경력을 쌓아오면서 있었던 여러 평판과 도덕성 등에 대해 더 실질적인 측면에서 검증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보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당청 수뇌부는 29일 저녁 시내 모처에서 회동을 갖고 낙마 파문에 따른 민심 수습 방안을 비롯, 향후 정국 대책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에는 당에서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 원희룡 사무총장이, 청와대에서는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정진석 정무수석이 각각 참석했다. 정부측은 총리 공석에 따라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