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현안 조율-실물경제 회복 맹활약
주호영 특임장관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이 11개월여 만에 국회로 돌아온다.
지난해 9월 입각한 두 장관은 국정현안 조율과 실물경제 회복 등에 적잖은 성과를 냈지만 8·8 개각에서 물러나게 됐다. 취임 1년이 안돼 유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여서 대구경북에서는 '너무 짧았다'며 아쉬워하고 있다. 두 의원은 "대과없이 소임을 다 했다"면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지역구 활동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당·정·청 소통에 힘을 쏟았고, 특히 당내 친이-친박, 대(對)야권 대화에 물꼬를 텄다. 각을 세웠던 당내 계파나 야권과 성과를 낸 모든 일 뒤에 주 장관이 있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판사 출신인 그는 특유의 균형감각에다 친화력, 특히 이 대통령의 약점인 불교계와 교감이 커 이명박 정부 2기 체제에서 큰 역할을 했다. 특임장관 취임 뒤 정부 입법의 법안 통과율이 17%대에서 약 70%대까지 높아진 것도 큰 성과다. 특히 후임에 이재오 의원을 앉히도록 건의한 것도 주 장관이었다는 전언이다.
친박계인 최 전 장관은 실물 경제를 총괄하는 지식경제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50조원이라는 UAE원전 수주를 이루면서 경기 회복을 이끌기도 했다. 지역으로선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대구 설립에 힘썼고,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의 통합에 제동을 걸면서 한수원의 경주 이전에 힘을 실어줬다. 이 밖에도 R&D 지원 체제 개편, '히든 챔피언'(중견기업) 300개 육성, 부품소재 산업 육성 등 크고 작은 성과를 이뤄냈다.
대구경북 지역으로선 아쉬움도 크다. 국회의장-부의장-한나라당 대표-원내대표-최고위원 등 국회직·당직을 모조리 부산경남과 수도권에 내준 지역으로선 그나마 두 장관이 내각에 포진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아쉬움을 달랬다. 국가산업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 로봇 및 IT, 대구경북자유경제구역 등 지역을 위해 지경부가 할 일이 많아 '1년은 더 해야 했다'며 최 전 장관의 퇴진에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친박계가 대부분인 대구경북으로선 친이계로 대화가 되는 주 전 장관을 주류와의 소통 창구로 자주 활용해 '이제 누구와 얘기하느냐'며 걱정하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