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제원 : 셔터속도 1/60초, 조리개 4.5, ISO 800, 300㎜ 렌즈
1/60초 이하 저속셔터에서 빗줄기 표현
원, 대지를 촉촉이 적시는 비가 내리는 가운데 한 여성이 우산을 받쳐 들고 출근하는 모습이다. 300㎜ 망원렌즈로 잡은 사진 속에는 실선으로 표현된 빗줄기가 운치를 더한다. 망원렌즈가 비를 만나면 빗방울도 아름다운 빗줄기로 표현될 수 있다. 비 사진의 핵심은 빗줄기다. 그러나 막상 촬영해 보면 정작 비는 없고 우산만 남기 일쑤다.
▶배경은 어두운 곳으로
배경은 반드시 어두운 곳을 택해야 한다. 비가 오는 날은 대게 흐리거나 광량이 부족해 빗방울에서 빛 반사가 미약하다. 때문에 배경이 밝은 곳에서는 무색의 빗방울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여름날 햇빛 사이로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를 만난다면 최적의 조건이다. 빗방울이 햇빛에 반사돼 한층 투명하게 촬영된다.
▶빗줄기 표현은 저속셔터로
빗방울은 셔터속도 조절에 따라 방울도 되고 줄기도 된다. 1/400초 이상 고속셔터에서는 빗방울로, 1/60초 이하 저속셔터에서는 빗줄기로 표현된다. 저속으로 갈수록 빗줄기는 더 길게 표현된다.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만큼 떨어지는 빗방울이 그대로 촬영돼 선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드시 망원렌즈로
렌즈는 망원 배율이 클수록 유리하다. 최소 100㎜ 이상은 돼야 한다. 80~200㎜ 줌렌즈가 있다면 200㎜로 촬영하는 게 좋다. 같은 조건에서 100㎜ 렌즈로 촬영시 빗줄기가 1㎝ 길이로 표현됐다면 200㎜ 렌즈에서는 4㎝로 더 길게 나타난다. 또 망원으로 갈수록 심도가 얕아져 초점 부위의 빗방울을 더욱 선명히 표현할 수 있다.
망원렌즈로 촬영시 과도한 저속셔터는 금물이다. 빗줄기에 욕심을 내다보면 떨리기 십상이다. 사진 속에 사람 등 동적인 피사체가 있다면 움직임 정도를 고려해 셔터속도를 결정해야 한다. 좌우로 움직이는 피사체보다 카메라 쪽으로 걸어오는 피사체가 떨림 방지에 더 유리하다.
thkim2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