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작년 부채 원리금 5800억 상환 '불안 상존'

입력 2010-07-14 10:28:31

최근 경기도 성남시의 모라토리엄(지급유예) 선언 이후 지방정부의 재정 위기와 예산 운용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과 우려가 크게 높아졌다. 빚이 많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대구경북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형편과 예산 운용, 향후 대책 등을 짚어봤다.

◆대구시와 구·군의 사정은

수도권 일부 자치단체가 예산을 방만하게 운용하면서 재정이 파탄나고 있지만 지역은 '마른 수건도 쥐어짜야 할 판'으로 원천적인 재원부족을 겪고 있다. 경기도 성남·용인시 등이 호화청사 논란을 빚고 있지만 대구시와 각 구·군은 청사를 리모델링해서 쓰거나 다른 건물을 임대해서 쓰고 있는 실정.

또 대구 각 구·군의 부채는 1억원에서 80여억원 정도로 다른 지역보다 재정이 상대적으로 건전한 편이다. 다만 재정자립도가 낮은 것이 더 문제다.

대구시의 경우 지난해 말 부채총액은 2조6천900억원으로 올해 예산 5조2천101억원의 40% 선. 도시철도 건설 분야에 6천억원, 상·하수도 건설 분야에 2천억원, 대구선 철도 이설 1천634억원 등 대부분 사회간접자본을 위한 부채다. 경기 침체로 취득·등록세는 2008년보다 705억원 감소했다. 이렇다 보니 빚을 내 빚을 갚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대구시는 부채 원리금으로 5천809억원(이자 1천34억원)을 상환했다. 전체 예산의 11.1%에 이르는 금액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매년 3천500억∼4천억원씩 내던 신규 부채를 올해는 2천95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이동혁 대구시 예산담당관은 "순세계잉여금의 35%는 지방채 상환용으로 적립하고 있으며 지하철 건설부채가 3년간 3천600억원 국비지원을 받게 돼 시의 부채는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며 "해가 갈 수록 대구시의 재정건전성은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의 재정자립도는 지난해에 비해 소폭 상승했지만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비해서는 크게 열악하다. 1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예산정책보고서에 따르면 대구의 재정자립도는 2009년에 비해 1.6%포인트(p) 상승한 56.3%로 전국 7위 수준.

각 구군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수성구의 올해 예산규모는 2천892억5천500만원이며 현재 재정 자립도는 지난해 보다 3p 떨어진 30%다. 부채는 1억원 정도. 구청 관계자는 "세출 예산은 늘어나는데 비해 세입 예산은 큰 변동이 없다"며 "국세 중 상당 부분을 지방세로 환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구의 올해 예산규모는 3천51억4천600만원이며 재정자립도는 17.29%(지난해 20.25%)다. 역시 복지 부문 사업비가 1천564억1천198만9천원으로 가장 많고 부채 규모는 26억4천400만원.

동구청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에 따른 지방 세수 감소와 복지 관련 국 시비 보조사업 급증에 따른 구비 부담 가중으로 재정 운영 여건이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남구의 재정자립도는 15.93%(당초 예산 1천570억원)로 대구 기초자치단체중 가장 낮다. 다행히 부채는(지방채무) 한푼도 없어 재정운용은 건전하게 운용하고 있다. 예산부족으로 청사 신축보다는 리모델링하기로 했다.

대구 북구의 경우 올해 예산 2천916억원으로 재정자립도는 18.8%에 머물고 있다. 북구는 올 상반기 기준으로 55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다. 달서구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예산은 3천267억으로 재정자립도는 23.1%이고 부채는 27억원. 달성군 올해 당초 예산규모은 3천450억원이며 재정자립도는 38.6%로 대구시내 구·군청 중 제일 양호한 편이다. 총 부채규모는 80억원 정도.

구청 관계자들은 "보육비 지원 등 매칭펀드 형식으로 구비의 사용처는 늘어나고 있지만 각종 감세정책 등으로 세수는 줄고 있으니 지방의 구 재정이 엉망이 되고 있다"고 했다.

사회1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