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DJ·참여정부 15년 국책사업 등 소외
대구경북(TK)이 권력에서 소외된 기간은 1993년 2월 김영삼 정부가 출범한 이후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의 시작까지 15년이다. 한나라당은 '잃어버린 10년'이라고 하지만 대구경북에게는 3당 합당으로 탄생한 김영삼(YS) 정권 5년이 더 혹독했다.
각종 인사에서 TK는 밀렸다. 각종 사업에서도 소외됐다. '30년간 잘해 먹었지 않느냐'는 비아냥에 입을 다물어야 했다. YS의 전 정권과의 차별화 시도 와중에 강한 반(反)YS 정서가 나타났다. 호사가들은 이를 'TK정서'라며 '권력의 금단(禁斷) 현상'이라고 불렀다.
그후 김대중-노무현 정권이 10년을 통치했다. 15년 동안 대구경북은 국책사업과 인사, 예산에서 변방이었다. 부산경남에 밀렸고 호남에 뒤처졌다. 대구경북 이명박 정권의 탄생까지 그런 시련이 필요했다. 이 대통령 취임 직후 한 측근의 "단지 15년인데 일 할만한 TK를 찾기조차 힘들어 놀라웠다"고 했다. TK 출신은 있지만 대부분 경력 관리가 안돼 있어 발탁하기 힘들다는 푸념이었다.
이명박 정부 2년 6개월은 대구경북이 누적된 불이익과 불균형을 시정하는 세월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견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조영택 의원은 최근 "6월 현재 이명박 정부의 장·차관급 80명 가운데 대구경북 출신이 24명(30%)으로 가장 많다"고 주장했다. 김대중 정권 시절 수치는 들먹이지도 않았다.
민주당과 타지역에서는 청와대와 정부의 고위공직뿐만 아니라 검찰과 국세청, 국정원은 물론 금융권과 공공기관에서의 TK 약진이 지나치다는 주장을 끊임없이 쏟아내고 있다. 일부 보수 언론도 그 주장대로 보도해 TK 견제에 동참하고 있다.
국비 예산 지원에서도 대구경북은 '본전 찾기'를 하고 있다. 광주시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에서 2008년까지 3년간만 따져도 대구시의 2배에 가까운 국비를 받았다. 이런 상황이 현 정부 출범 이후 개선됐다. 올해 국비 예산은 2007년과 비교할 때 대구시는 8천600여억원에서 3조500억원으로 3.5배, 경북도는 2조1천억원에서 7조100억원대로 3.3배 커졌다. 그러나 인구 수를 감안하면 이제 호남 수준이다. 15년간 잃은 손해를 다 벌충하려면 남은 2년으론 부족할 정도다. 대구시 한 간부는 "현 정부 들어서 '정책 전달 통로'가 튼실하게 확보된 것이 가장 큰 변화"라며 "국비는 이제 제몫을 챙기고 있는 상태"라고 했다.
미래의 먹을거리를 만들기 위한 발걸음도 빨라졌다. 대구·구미·포항에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확정됐고 충청권과 나누긴 했지만 첨단의료복합단지도 유치됐다. '이명박 효과'로 봐야 한다. 이인중 대구상의회장은 "세세한 부분들까지도 현 정부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며 "대구경북이 이제 힘든 환경을 겨우 극복하고 새롭게 나아가기 위한 걸음마를 하는 단계"라고 했다.
아직 대구경북이 가야할 길은 멀다. 15년간의 소외와 낙후를 복구하려면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대구경북민들은 지역과 '특별한 인연'을 가진 정권을 다시 한 번 갈망하고 있는 것이다.
이동관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