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방 '동반성장'해야 미래 있다

입력 2010-07-07 07:39:16

소득 불균형도 심화…민선5기 출범, 지역 상생 적극 모색을

'20년 만의 경사다.'

꼭 1년전인 지난해 이맘때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대구 신서로 결정되자 터져나온 지역민들의 일성(一聲)이다. 그만큼 지난 20여 년간은 대구경북이 위축되고 추락한 세월이었다. 섬유와 철강, 전자와 IT로 대한민국의 근대화를 이끌었던 대구경북은 그동안 정권의 소외 지역으로 전락하면서 몰락한 것. 그 사이 부산과 인천은 날았고, 충청권은 수도권 확대라는 명분으로 많은 대기업들의 투자 1순위 지역이라는 '선물'에 호강했다. 반면 대구는 17년째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 꼴찌의 멍에를 썼다.

삼성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자료에도 대구경북의 위상은 확연히 드러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우리나라 전체 경제는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역은 여전히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 것이다. 아니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가 지역간 소득 불균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 추이'를 조사한 결과, 외환위기를 맞은 1997년 0.085에서 2008년 0.194로 두배 이상 상승했다. 삼성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는 "확장된 수도권(서울·경기·인천·충청)과 나머지 지역간의 소득 불균등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연구소 측이 분석한 지역간 소득격차의 첫번째 원인은 일자리 차이이다.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 동안 수도권 일자리 비중은 49%에서 50.9%로 증가했지만 대경권은 이 기간동안 오히려 10.8%에서 9.7%로 낮아졌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쏠림 현상도 문제로 꼽았다. 수도권 인구비중은 1992년 44.1%에서 2008년 48.8%로 갈수록 중가세이며, 수도권으로 편입한 충청권 역시 9.9%에서 10.1%로 늘었다. 하지만 대경권은 11.6%에서 10.4%로 낮아져 인구 유출만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1일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민선 5기'를 출범시켰다. 민선 5기는 지역의 미래가 '맑음'인지, '흐림'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다. 특히 이명박 정권이 출범하면서 새로운 '꿈'을 꾸게 된 대구경북으로서는 그 꿈을 현실로 그려야하는 중차대한 시기가 온 것이다.

희망도 보인다. 최근 SK그룹이 대구와의 인연 맺기를 시작했고, 삼성과도 지속적인 러브콜의 효과가 서서히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계약학과가 내년부터 경북대에 설립되고, 오는 21일에는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도지사의 삼성가(家) 회동이 마련돼 있다.

몇해 전부터 대구와 경북이 손을 맞잡고 상생노력을 계속한 결과의 산물이다. 하지만 이런 긍정의 기운을 대구경북의 활성화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지역 경제계를 이끄는 각 주체들의 반성이 필요하다.

지역 R&D기관과 기업지원 기관들이 자신들의 살 길만 찾는 '나홀로 연구'에 몰두, 정녕 기업들은 도외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역 기업들은 자생적으로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하고, 투자를 위해 대구를 찾은 외지 기업들은 '기업하기 힘든 곳'이라는 말을 뱉고 등을 돌리기 일쑤였다는 것.

"정부와 대구시 지원은 소수의 갈라먹기 잔치로 끝났다. 이런 지원들은 '분수 효과'처럼 경제 밑바닥까지 전해져야 하지만 '그들만의 잔치'일 뿐"이라는 한 중소기업인의 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지역이 창출한 MB 정권도 이제 2년이 남았을 뿐이다. 언제까지 정부만 쳐다볼 수는 없는 일이다. 창간 64주년을 맞아 매일신문은 '동반성장이 미래다-지역경제상생프로젝트'라는 아젠다를 설정했다. 학계와 시민단체, 정계 등 전문가들로 자문단도 구성했다. 이들과 함께 매일신문은 갈수록 비대해지는 수도권과의 대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수도권과 지방의 '동반 성장'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가름하기 때문이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한윤조기자 cgdream@msen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