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상임위 부결…대구경북이 기회다

입력 2010-06-24 10:19:27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 유치 추진"

국회 국토해양위원회가 세종시 수정안을 부결함에 따라 과학비즈니스벨트와 대기업을 대구경북이 적극 나서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함께 떠내려간 혁신도시 지원책에 대한 대책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종시 수정안의 방향은 교육·과학 중심 도시. 과학비즈니스벨트와 16개 국책연구기관, 고려대·KAIST 등을 유치한다는 게 정부 측의 복안이었다. 그러나 수정안 부결로 모두 표류하게 됐다.

한나라당 서상기 의원(대구 북을)은 "당초 특정 지역에 국한해 국가 백년대계를 책임질 과학 국책사업을 추진한 것 자체가 잘못된 일"이라며 "과학비즈니스벨트는 대구경북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추진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연구 기능이 강한 대덕단지와 광산업이 발전한 광주, 연구·개발 인력이 우수한 대구를 잇는 '대구-광주-대전 트라이앵글 구조'의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적절하다는 것.

장윤석 의원(영주)은 "대구경북이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하기 위한 논리 개발을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한다"며 "관련 법안이 교과위에 계류 중인 만큼 상임위 단계부터 타당성 조사 단계까지 지역 정치권이 꾸준히 힘을 합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우 의원(김천)은 "세종시가 원안으로 회귀하면서 사업비가 10조원가량 축소됐다"며 "남는 재원을 대구경북을 비롯한 혁신도시에 돌리는 논의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대구 동을)은 한화, 웅진 등 기업 유치 문제와 관련, "이제 정부가 나서 세종시로 기업을 몰아 넣으려하는 불공정한 문제가 사라졌다"며 "공정한 게임이 시작된 만큼 시·도와 정치권이 나서 세종시 만큼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마련해 기업들을 유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혁신도시 지원책을 따로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성조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은 "세종시 문제로 인해 전국의 혁신도시가 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유승민 의원은 "대구 신서혁신도시 토지 분양가가 세종시 보다 월등히 높다. 세종시에 투입할 재원을 혁신도시 토지 분양가 인하 지원비로 돌리는 방안이 수립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구시는 세종시 수정안 부결이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산업단지 기업 유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삼성, 한화, 웅진 등 기업들은 대체 부지를 찾는 등 대안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혁신도시에 대한 기업의 투자 심리가 살아나는 '반사이익'을 기대했다. 박광길 대경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사무총장은 "삼성, SK, 웅진 등 기업들이 기획했던 투자 사업을 잡아야 한다. 모든 카드를 동원, 기업 유치에 올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훈 대구시경제통상국장은 "국가산업단지에 원형지 수준의 용지 공급 등 세종시에 버금가는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준비해 기업 유치에 힘쓰겠다"고 했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은 "대기업들이 실제 세종시에 투자를 할 계획이었는지 아니면 정부의 압박에 투자를 계획한 것인지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했다.

송경창 경북도 정책기획관은 "김천혁신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 유치가 중요하다"며 "경북도는 2차전지, LED 분야 등 지역을 선도할 산업 관련 기업체 유치를 위해 긴밀한 접촉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가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원점에서 재검토함에 따라 양성자가속기, 방사광가속기 등 관련 인프라를 잘 구축하고 있다는 경북의 장점을 내세워 울산과의 협력을 통해 산업 친화형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혁신도시의 경우 현재 관련 기관 이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기반 시설에 대한 대폭적인 국비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춘수기자·김병구기자·박상전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