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한전과 통합說 솔솔…경주 기관·단체 강력 반발

입력 2010-06-15 09:50:08

"통합논의 즉각 중단하라"…성사땐 본사이전 무산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관련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의 통합이 가시화됨에 따라 방폐장 유치로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본사 이전을 기대하고 있는 경주지역에서 통합 반대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경주가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을 유치함에 따라 2014년까지 경주로 이전하게 돼 있는 한수원 본사가 한전과 한수원 통합으로 한수원 본사 규모가 축소돼 이전되거나 이전 자체가 백지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경주지역 각 기관·단체와 시민들이 적극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원전 해외수출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이유로 한전과 한수원 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양사의 통합을 골자로 한 '한국전력 구조개편안'을 용역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으로부터 제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경주지역 기관·단체 및 시민들은 한전과 한수원의 통합 논의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추진하기로 하는 등 통합 반대 입장을 강하게 표명하고 있다.

경주시의회는 16일 의원 전체 간담회를 열어 한전과 한수원의 통합 동향 및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시의회는 간담회에서 통합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이달 말 예정된 전력산업 구조 정책방향 연구용역 토론회에서 반대 의견을 강력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통합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 구성 여부도 조만간 결정키로 했다.

여기에 최양식 경주시장 당선자도 한전과 한수원의 통합 논의를 봉쇄하고 원안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최 당선자의 임기가 시작되는 다음 달이면 시 집행부 차원의 구체적인 대응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앞서 올 4월 말 경주시 집행부는 지식경제부를 방문해 "주민투표로 결정하고 특별법에 명시된 한수원 본사 이전이 무산된다면 방폐장 및 원전 건설에 시민 저항이 예상된다"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또한 국책사업추진협력 범시민연합 등 지역 10여개 시민단체 대표들은 최근 경주시내 한 식당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한수원과 한전 통합설 제기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들어갔다. 이들 단체들은 정부와 한전 등의 동향을 면밀하게 분석한 뒤 대응방안을 수립하기로 했으며, 조만간 시민 서명운동 등을 통해 한수원과 한전의 통합, 조직축소에 반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수성(경주·무소속) 국회의원도 최근 발표한 성명에서 "정부의 연구 용역이 어떤 식으로 결론이 도출되더라도 한수원 본사는 애초 계획대로 경주로 이전작업을 완료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 의원은 최 경주시장 당선자 등과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지역 발전을 기대하고 주민투표로 방폐장을 유치해 한수원 본사가 경주로 오게 됐는데 이것이 무산된다면 시민들의 큰 반발이 예상됨은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국책사업 추진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수원 본사는 경주가 방폐장을 유치함에 따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의 유치지역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해 서울에 있는 본사를 2014년까지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로 이전하게 돼 있다. 한수원은 작년 8월 경주시 등과 체결한 '한수원 본사이전 관련 업무협약'에 따라 7월까지 본사 법인주소를 경주시로 옮기고 본사 임시이전 사무소에 준비요원을 포함한 선발대 인원 100여명을 우선 근무토록 했다. 또 경주 양북면 장항리 일대 15만7천42㎡에 2014년까지 본사 사옥을 건립한다는 방침에 따라 현재 부지 매입을 거의 마무리하고 늦어도 8월 말까지 설계를 발주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내달 초까지 한국전력공사와 6개 발전자회사 통합 여부를 포함한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관련한 입장을 정할 방침이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