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만 7만∼8만명 선거운동 추정
선거판으로 사람들이 대거 몰리면서 6·2지방선거가 '인력 블랙홀'이 되고 있다.
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 등록한 경북지역 후보는 도지사 4명, 기초단체장 66명, 광역의원 126명, 기초의원 531명, 광역의원 비례대표 17명, 기초의원 비례대표 82명, 교육감 2명, 교육의원 13명 등 모두 841명이다.
이들 후보들은 선거법에 따라 기초의원 경우 8명, 광역의원은 10명, 기초단체장은 읍·면·동 수의 3배수, 광역단체장은 자신이 출마한 지역의 읍·면·동수만큼 선거운동원(사무원)을 고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거운동원과 후보들의 친·인척과 지인으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를 포함하면 경북 23개 시·군에서 선거판에 동원된 사람이 최대 7만~8만여명에 이른다.
농촌 하루 일당이 3만~4만원인 반면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면 중앙선관위가 정한 수당과 교통비와 같은 실비 보상 등 7만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너도나도 선거판으로 몰리고 있다.
인구 2만7천명인 청송군은 선거운동원이 1천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인구 1만8천명인 영양군은 700~800명에 달한다. 청송군 한 관계자는 "최근 공공근로 40명, 숲가꾸기사업 118명, 노인일자리 850명에다 선거운동원 1천여명 등이 빠져나가 농촌 일손 부족이 심각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인구 7만6천여명인 문경의 경우 선관위에 등록된 공식 선거운동원은 사무장과 회계책임자를 포함해 모두 558명이다. 하지만 운전·청소·차대접·물품정리·상대후보 불법선거운동 감시조 등 자원봉사자를 포함하면 선거에 동원된 인력은 3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문경시 선관위 관계자는 "자원봉사자는 선관위에 신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규모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지만 각 후보 캠프에 등록된 선거운동원보다 훨씬 많다고 봐야 한다"면서 "자원봉사자에게 금품을 뿌려도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손을 구하지 못한 농민들은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이상 저온현상과 영농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높은 인건비까지 걱정해야 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30년째 사과 농사를 짓고 있는 김시균(67·청송군 부동면)씨는 요즘 과수원 1만8천㎡에 사과 열매 솎아주기 작업을 할 일손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김씨는 "예년의 경우 10여명이 작업을 했지만 올해는 인력이 없어 가족이 하루종일 작업에 매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황병욱(72·청송 부남면)씨도 "선거운동 등으로 농촌 인력이 빠져나가면서 일할 사람이 없어 인근 대도시에서 일손을 구했다"고 털어놨다.
경북지역 한 선거운동원은 "농사일 품삯보다 2배가량 많은 보수를 받을 수 있는 선거운동원이 되기 위해 선거판에 너도나도 뛰어들고 있다"면서 "농촌의 일손 부족은 안타깝지만 한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 털어놨다.
청송·김경돈기자 kdon@msnet.co.kr
문경·고도현기자 dor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