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떠나가는 연구인력 원망만 해서야

입력 2010-04-03 07:13:40

대구'경북 기업들의 연구'개발(R&D) 기반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대기업이 지역에 있는 연구인력의 수도권 배치를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도 연구인력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이는 지역 R&D 기반의 축소로 시장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지체될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지역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보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구'경북지방 중소기업청이 올해 실시한 중소기업 전문인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R&D 과정에서 지역 중소기업이 부딪히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연구원 확보 및 유지 곤란'(69.1%)이라고 한다. 두 번째로 큰 애로는 '연구개발 자금 부족'(49.3%)이었다. 결국 지역 중소기업은 연구개발을 하려고 해도 사람이 없어 못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근본적 원인은 역시 수도권 집중이다. 중기청이 집계한 최근 3년간 지역별 전문연구원 배정 현황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전문연구원의 75.7%가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 경북은 3.4%에 불과하다. 이는 대전 충남(12.3%)보다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R&D 기능 위축은 대기업의 지역 내 사업장에서도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삼성전자는 수원에 건립할 예정인 제3연구소로 구미 사업장의 연구인력을 재배치하고 있다. LG전자도 마찬가지다. 서울 서초동에 R&D 캠퍼스를 개관하면서 지난해 상반기부터 구미사업장을 비롯, 지방에 분산되어 있는 R&D인력을 수도권으로 옮겼으며 구미사업장의 경우 600여 명의 인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이 자체적인 제품 개발 능력이 없는 단순 생산 또는 하청 기지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역 기업이 연구인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교육'문화 등 정주 여건이 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대우를 해도 연구인력이 지역 근무를 마다하면 기업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해결책은 분명하다. 이들을 붙잡을 수 있는 정주 여건을 마련하는 일이다. 그러나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수도권에 뒤지지 않는 교육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자금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꼭 해결해야 할 문제다. 결국 그 책임은 지자체 몫이다. 떠나가는 연구자들을 원망만 할 게 아니라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그들이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