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 삶의 안전지대

입력 2010-03-18 07:47:43

삶이 안정되길 바라지 말라는 말이 있다. 그리고 삶엔 안전지대도 없다고 한다.

난 그 말을 처음 들었을 때의 충격을 지금도 기억한다. 나는 그 당시만 해도 좀 더 안전한 삶, 좀 더 안정적인 내 모습을 기대하며 또 그것을 찾으며 살고 있었다.

스무살 땐 서른이 되면 아마 내 삶이 안정되어 있으리란 기대를 했던 것 같다. 그때쯤이면 밀고 당기는 사랑의 줄다리기도 필요 없을 것이다, 아마도 그때쯤이면 배우자 정도는 결정이 돼 있으리라. 그리고 경제적으로도 어느 정도 안정돼 있을 것이고, 내 삶의 방향도 꽤나 선명하리라. 그때 나는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리고 그렇게 기다리던 삼십대가 되었다. 그런데 한 해 두 해 시간이 흐르면서 나는 혼란스러워졌다. 삼십대가 되어도 삶은 안정되지 않았고, 안전지대라는 것은 없었다. 그제야 비로소 나는 조금씩 깨달아가기 시작했다. 삶이 안정되는 나이라는 건 없구나, 그저 그 나이가 주는 고민이 따로 있을 뿐이구나, 라고.

헬렌 켈러가 이런 말을 남겼다. "안전이란 십중팔구는 미신이다. 삶은 위험을 무릅쓴 모험일 뿐이다."

일과 사람 관계의 부딪힘은 나이가 든다고 절로 없어지는 게 아니었다. 사랑도, 사랑에서 비롯되는 감정의 파고도 이십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걸 머리가 아니라 현실로 알게 되었다. 고백하건대, 그럼에도 나는 아직도 내 삶이 조금은 안정되어 주길 바란다. 하지만 또 솔직한 심정이건대, 내 삶이 심심해지고 지루해지는 걸 원치 않는다. 나는 나의 한계와 틀을 조금씩 무너뜨리는 재미를 이미 알게 되었고, 그것이 결국 삶의 안정을 바라는 것보다 오히려 내 삶을 더 튼튼하게 만들어준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누군가 내게 안정과 변화 중에서 단 한 가지만 고르라는 잔인한 질문을 던진다면, 나는 조금 머뭇거리긴 하겠지만 용감하게 변화를 선택하련다.

어쩌면 가끔, 아니 자주 삶이 좀 안정되면 좋겠다며 투정을 부리기도 하겠지만 있는 그대로의 내 삶을 사랑하리라. 이렇게 살고 저렇게 살아도 내게 주어진 삶의 시간은 정해져 있고 지금도 흘러가고 있다. 붙잡는다고 붙잡혀줄 시간이 아니다. 가지 말란다고 가던 길을 멈추고 내 사정을 봐 줄 시간도 아니다. 그러니 우린 좀 더 용감해질 필요가 있는 게 아닐까.

뭐라도 한 번 해봐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용기를 낼 때 삶은 좀 더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주는 것 같다.

전문주 방송작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