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지역 영세상인들 SSM·대형할인점 입점 반대 운동

입력 2010-02-17 08:17:02

#대형소매점 잇단 추진에 '골목상권 살리기' 운동

영세상인들 적법 여부 소송 등 집단 움직임

안동지역에도 거대자본을 앞세운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대형소매점 등이 잇따라 추진되면서 영세상인과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형소매점인 E마트와 롯데마트 등이 입점해 있는 안동지역에는 최근 들어 운흥동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1만1천656㎡에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의 거대자본을 앞세운 대형 쇼핑몰(아이파크)이 입점을 위한 건축심의를 완료한 상태다. 또 안동봉화축협도 송현동 일대 총 면적 1만9천여㎡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대형마트를 건립할 계획으로 도시계획 심의를 요청, 지난달 21일 조건부 가결됐다.

이처럼 기업형 슈퍼마켓 입점이 잇따르자 지역상권 몰락을 우려하는 상인들의 집단 움직임마저 일고 있다. 안동시상인연합회는 최근 잇따라 심의 완료된 대형소매점과 복합쇼핑몰 건립에 대한 행정절차의 적법성 여부를 따지는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등 입점 반대 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인다는 계획이다.

안동시의회 정홍식 의원은 최근 이 문제와 관련해 안동시의회 임시회 3분 발언을 통해 "몇년 전 17만도 안 되는 중소도시 안동에 거대자본의 대형마트가 들어서 전통시장과 중소상인들이 한차례 타격을 입었다"며 "또다시 거대자본을 앞세운 쇼핑몰과 축협 대형마트 개점이 추진되는 것은 이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전통시장 및 영세상인 보호책과 지역상권 활성화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정 의원 등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경우 지역 내 자금 역외유출 통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고용창출 면에서도 고용불안 등 열악한 고용환경을 가중시킨다는 것. 하지만 행정기관은 자유업으로 전환한 골목상권에 대한 보호 육성책을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심지어 폐업 통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정 의원은 ▷대형마트와 대형쇼핑몰 건축허가와 교통환경평가 등 행정적 심의절차 강화 및 제도적 보완 ▷주거지역 내 판매시설 건축제한을 위한 도시계획조례 제정 ▷전통시장 및 영세상인 보호와 지역상권 활성화 조례 재·개정 ▷대형마트들의 지역상품 일정비율 이상 판매를 위한 제도적 유인책 마련 ▷중소상인 공동물류센터 건립 등 영세상인들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예산투자 등을 요청했다.

안동시상인연합회 관계자는 "행정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기업형 슈퍼마켓에 자유롭게 빗장을 풀어준다면 지역상인들은 어떻게 사느냐"며 "축산물 판매에 전념해야 할 축협마저 자본을 앞세워 공산품을 팔겠다고 나서는 것은 골목상인들의 절규를 외면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