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 삼한시대 지금의 의성 땅을 지배했던 소국은?

입력 2010-02-13 07:00:00

♣21회 시사상식 '텐' 정답

1.Northern Limit(ed) Line 2.악비 3.데블스 에드버킷(Devil's advotcate) 4.태블릿 PC 5.크레바스 6.마추픽추 7.얼레지(엘레지) 8.프란츠 슈베르트 9.프리드리히 파울루스 10.베블렌 효과

♣지난주 10문제 모두 맞힌 정답자 중 당첨자

◆스파밸리 자유이용권 2명:고성환(경북 문경시 점촌동·문경문화원) 김한숙(경북 경산시 옥산동) ◆C&우방랜드 이용권 2명:남규영(대구시 북구 침산3동) 나선혜(대구시 남구 대명6동) ◆문화상품권 5천원권 3매(동아백화점 협찬):강진욱(대구시 북구 노원3가·덕우정밀 대표)

☞응모요령-우편접수:(700-715) 대구시 중구 서성로 26 매일신문사 주말기획취재팀 시사상식 '텐' 담당자 앞. 이메일접수:cdrom@msnet.co.kr

이번 주 시사상식 '텐' 문제입니다.(2월 3~9일)

1.삼한시대 금성면을 중심으로 지금의 의성 땅을 지배한 소국(읍성국가)이다. 삼국사기에는 "벌휴니사금(신라의 전신인 사로국의 왕) 2년(185년) 2월 파진찬 구도와 일갈찬 구수혜를 좌우 군주로 삼아 이 소국을 정벌했다"고 적고 있다. 의성군은 내년 말 이 소국의 뿌리를 찾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지켜줄 박물관도 완공할 계획이다. 이 소국의 명칭은?(힌트 2월 3일자 12면)

2.사회적 자원에서 실패를 자산화하자는 실패학을 관광상품화한 것으로 최근 새로운 관광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재난이 일어났거나 역사적인 비극이 벌어졌던 곳을 찾아가 반성하고 교훈을 얻기 위한 여행이다. 1966년 이 용어가 등장해 2000년 영국 글래스고 칼레도니언대학의 교수 멜컴 폴리와 존 레논이 함께 지은 책 제목으로 더 널리 알려졌다. 이 여행을 뭐라 부르나?(3일자 27면)

3.육상의 꽃 100m 달리기 기록은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가 갖고 있는 9초58이다. 그는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9초69를 기록했으며, 2009 베를린대회에서 또다시 세계기록을 경신했다. 반면 한국은 1979년 이 선수가 수립한 10초34가 30년 이상 깨지지 않고 있다. 31년째 100m 한국신기록을 갖고 있는 이 선수는?(4일자 21면)

4.현대 미술의 거장으로 이 사람의 조각 '걷는 사람Ⅰ'이 런던 소더비 경매에서 약 1천200억원에 거래돼 예술작품 경매가 최고액을 경신했다. 그는 스위스 출신으로 전성기 때인 1961년에 이 청동 조각상을 만들었다. 가늘고 긴 인간의 골격으로 조그만 충격에도 금방 부서질 것 같은 현대인을 모습을 조각으로 만든 이 예술가는?(5일자 20면)

5.미국 최대의 스포츠 축제로 지난해 전 세계 1억600만명이 시청해 단일 경기로는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시청자가 많았던 경기다. 미국 프로풋불 양대 콘퍼런스 챔피언끼리 맞붙는 이 왕중왕전을 일컫는 말은? 올해는 인디애나 폴리스와 뉴올리언스 세인츠가 결승에 올랐다. 이 결승전을 뭐라 부르나?(5일자 27면)

6.'맥심 기관총'을 만든 발명가다. 1840년 미국 메인주에서 태어나 41세 때 영국으로 귀화했다. 비행기를 만들고 전기·수도·가스·화약에 관한 특허만 100가지가 넘지만 전쟁의 양상까지 바꿔놓은 이 기관총의 발명으로 '죽음의 발명가'란 별명까지 얻게 된 이 인물은?(5일자 30면)

7.눈과 얼음을 뚫고 나오는 풀이라 '파설초'(破雪草)라고도 불린다.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 그늘에서 10㎝ 내외로 자란다. 꽃이 한창 필 때쯤에는 세 갈래로 갈라진 잎이 돋아나는데 뒷면에 보송보송한 털이 많고 안쪽으로 말려있어 정말 이 동물의 귀를 닮았다. 그래서 이 이름이 붙여진 야생화의 명칭은?(6일자 9면)

8.'말하다'의 경상도 사투리로 주로 말하는 것을 비하시켜 표현할 때 쓰이지만, 친근한 사이에서 '말하다'를 대신해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경상도에서는 막역한 사이에 흔히 쓰이는 말로 친근함이 가장 극대화된 표현이다. 이 사투리는?(6일자 10면)

9.불교에서 이 절의 의미는 생명에의 성찰과 겸손, 그리고 나눔에 있다.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생각하며,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살아있는 목숨의 귀중함을 생각하며 이 절을 시작한다. 불교에서 3천배는 너무 많아 주로 이 방식으로 절을 올린다. 불교에서 말하는 번뇌와도 연관이 있는 이 절하는 법을 뭐라 부르나?(8일자 27면)

10.정치적으로는 '국민소환'이라는 뜻으로 선거 등으로 선출·임명된 국민의 대표 또는 공무원을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이나 주민의 발의(發議)에 의해서 파면·소환하는 제도를 말한다. 하지만 경제용어로는 제품에 치명적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제품을 다시 회수해 고쳐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번에 일본 도요타 자동차에 대해 치명적 결함이 있다고 해 이 제도를 전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를 이르는 용어는?(9일자 14면+경제상식)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