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승강기를 타면 넥타이 메고 출근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경남에 있는 제조업체를 대구로 끌어올 때 내미는 카드는 '대구의 임금이 정말 싸다'는 것이다."
이런 얘기가 자주 들린다. 대구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말이다. 이 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또 하나 나왔다.
대구는 인구가 엇비슷한 인천에 비해 봉급생활자가 20만명이나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대구의 봉급생활자들이 받는 임금 총액을 살펴보니, 대구보다 인구가 100만명이나 적은 대전과 엇비슷했다.
'대구 사람들은 뭘 먹고사나'라는 의문이 만들어지고 있다.
국세청이 집계한 '근로소득 연말정산자의 급여 구성' 자료에 따르면 2008년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받은 대구의 봉급생활자들은 49만5천959명이었다. 대구 인구(248만9천781명·지난해 말 기준)를 감안하면 대구 인구의 5분의 1 정도만이 봉급생활자였다. 나머지 상당수는 소득이 불안정할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라는 얘기다.
대구와 인구가 엇비슷한 인천(인구 271만명)은 봉급생활자가 71만513명이었다. 대구보다 봉급생활자가 20만명을 넘게 많은 인천은 전체 인구 구성비의 4분의 1 정도가 봉급생활자였다.
서울의 경우, 대구보다 인구가 4배 많지만(인구 1천20만명) 봉급생활자는 473만5천564명을 기록, 봉급생활자 숫자가 대구의 10배였다. 부산도 봉급생활자가 89만9천여명으로 대구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울산은 인구가 111만명으로 대구보다 140만명 가까이 적지만 봉급생활자는 34만7천여명으로 대구와 15만명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울산은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봉급생활자였다.
경북은 삼성전자, 포스코 등 대기업의 영향으로 인해 봉급생활자가 63만4천여명을 기록, 대구와 인구는 엇비슷(266만여명) 하지만 대구보다 봉급생활자 숫자가 10만명 이상 많았다.
대구의 봉급생활자 임금을 모두 더해보면 '대구의 처지'가 그야말로 부끄럽다. 대구 봉급생활자들의 급여총계는 10조7천779억원인데 이 액수는 대전(급여총계 10조16억원)과 비슷했다. 인구가 148만명으로 대구보다 무려 100만명이나 인구가 적은데다 봉급생활자 숫자 역시 37만여명으로 대구에 비해 12만명이나 적은 대전의 임금 총계가 대구의 임금 총계와 비슷한 것이다.
대기업에서 일반화된 주식매수 선택권 행사 이익(스톡옵션) 소득을 올렸다는 신고가 인천에서는 2008년 10억원이나 나왔고 대전에서 29억원, 부산에서도 1억1천800만원이 나왔지만 대구에서는 고작 400만원 뿐이었다. 대구에는 스톡옵션을 받을만한 '고급 봉급쟁이'가 거의 없다는 의미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