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밥에 안성맞춤 주안벼 선정

입력 2010-01-12 08:18:38

도시락'김밥용으로 개발 농촌진흥청 올부터 나서

농촌진흥청은 새해부터 도시락, 김밥용에 걸맞은 즉석밥용 벼 품종으로 '주안벼'를 선발했다.

주안벼는 농촌진흥청이 1995년 조생종인 '설악벼'에다 밥맛이 좋고 쌀 외관이 고운 '고시히카리'를 교배한 뒤 쓰러짐에 강한 '삼남벼'를 3원 교배해 개발, 10여년간 농가에서 재배한 품종이었으나 이후 '일품벼' 등 더 우수한 품종에 밀려 퇴역한 벼 품종이다.

따뜻할 때 밥맛이 좋아야 하는 가정용 쌀과는 달리 즉석밥용 주안벼는 식은 밥일 때도 좋은 밥맛을 보여 줘 도시락과 김밥 등 즉석밥 업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식은 뒤에도 밥맛이 좋고 모양과 색깔이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은 밥 위주의 외국인 취향에 알맞아 우리쌀 수출길을 여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낼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즉석밥 관련 업계와 합동으로 현재의 볍씨 중 식은 밥 맛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월등한 품종으로 '주안벼'를 선정, 올해부터 종자 증식에 나서 쌀가공업체와 농가, 농협 등과 함께 즉석밥용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주안벼가 다시 즉석밥용 품종으로 선발돼 새 용도로 재활용되면서 약 30억여원의 새 품종 연구개발비 절약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장은 "우리 쌀 소비촉진과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밥쌀용 쌀의 지속적인 품질 개선은 물론 용도별로도 최적의 맞춤형 품종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