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담배 피우는 사람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남성 흡연율이 43.1%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2.0% 포인트 높아졌고 2008년 상반기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흡연율 증가는 사회심리학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담배 권하는 환경'에 둘러싸여 있음을 보여준다.
흡연율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은 20대였다. 20대 흡연율은 25.6%로 상반기에 비해 무려 3.5%나 상승한 것에 미뤄 20대들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20대는 40, 50대에 비해 훨씬 합리적이고 개인적인 생활 태도를 갖고 있는 점에 미뤄, 공부와 취업 문제에 매달리고도 미래를 낙관적으로 볼 수 없게 하는 사회 시스템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IMF 당시 흡연율이 크게 상승했던 현상과 전혀 무관하지 않다.
여성 흡연율은 지난해 상반기 3.6%에서 하반기 3.9%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사회통념상 흡연 사실을 숨기는 경향이 많아 조사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지만 흡연율 증가 사실은 분명한 듯하다. 예전 같으면 신년을 맞아 금연 열풍으로 떠들썩했지만 올해는 다소 시들해진 것도 또 다른 현상이다.
정부가 2011년 모든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흡연율을 낮춰보려 하는 것은 하책(下策)에 불과하다. 2003년 금연법 첫 제정 후 금연 빌딩, 금연 구역 등 각종 조치를 취해 놓고도 관리'감독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더 큰 문제다. 정부가 강력한 금연법을 시행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국민들의 스트레스를 낮추는 정책을 내놓고, 국민을 즐겁게 하는 정치를 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