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땐 싸움 잘하는 아이가 되고 싶었다. 20대 땐 세상이 모두 잘못 된 줄 알고 '짱돌' 던지며 살았다. 같은 하늘 아래, 같은 나라에 사는 데 사람들은 너무 달랐다. 나는 피 터지게 싸우는데 몇 발짝만 걸어가면 사람들은 다정하게 손잡고 산책하고 있었다. 납득할 수 없는 세상이었다. 평화로운 얼굴로 다정하게 걷는 그들은 누구인가, 피맺힌 고함을 질러대며 절규하는 나는 또 누구인가.
30대 어느 날 문득 다른 세상이 보였다. 더럽다고 생각한 대한민국이 너무나 위대해 보였다. 충실히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평화로운 얼굴들이 참으로 아름답게 보였다. 나 자신도 그 거룩한 일상에 들어가고 싶었다. 그래서 '성실한 생활인'이 되고자 고군분투했다. 40대가 되면서 근거를 알 수 없는 허전함을 느꼈다. 가슴 속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10가지가 넘는 업종을 전전했다. 평온과 조화를 잃어버린 삶, 이기적 욕망과 이상을 좇아 살던 날들…. 어느 날 문득 깨달았다. 나는 떠난 곳도 목적지도 없는, 표류하는 배였다.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시해, 1980년 5'18, 6월 항쟁, 1989년 친구의 분신, 시위, 사랑, 공감과 이해…. 성장기는 자라는 아이들에게 국한된 시기가 아니다. 이 소설은 1960년대 생으로, 1980년대 대학 시절을 보낸 '386의 성장소설'이다. 306쪽, 1만원.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