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환경이 급변하면서 전통시장이 위기를 맞은 지 오래다. 다양한 상품, 쾌적한 환경과 원스톱 쇼핑을 내세운 대형 마트에 고객이 몰리면서 전통시장의 매출은 해마다 격감하고 있다. 중소기업 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2002~2008년 사이 대형 마트 매출액은 13조3천억 원 증가한 반면 전통시장은 15조6천억 원이나 줄었다.
전통시장이 이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 원인은 물론 대형 마트의 무차별 진출이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전통시장 스스로 고객이 찾고 싶어하는 곳으로 변신하지 못한 것도 큰 이유이다. 현재 소비의 주축 연령대인 30, 40대는 대부분 대형 마트를 찾는다. 여러 가지 상품을 비교 평가할 수 있고 많은 물품을 원스톱으로 구매할 수 있는 편의성, 정찰제가 주는 신뢰감 때문이다. 가격에서 재래시장은 대형 마트보다 경쟁력이 높지만 고객을 잃고 있는 이유는 쇼핑 환경 조성에서 뒤졌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점에서 지역 내 각 전통시장이 새로 태어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소식(본지 6월 25일자)은 매우 반갑다. 법적 보호 장치만으로는 전통시장이 살아날 수 없다. 전통시장이 여전히 불편하면 고객은 쉽게 찾지 않을 것이다. 대형 마트와 같은 수준의 이점이 있거나 대형 마트에는 없는 다른 무엇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명박 대통령은 25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을 방문한 뒤 대형 마트와 영세 상인 간 사업조정제도를 검토하도록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대형 마트와 영세 상인이 취급하는 물건을 차별화하는 것이 그 골자인 듯하다. 이 제도가 마련되면 전통시장의 매출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제도적 보호 대책에 앞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 돕겠다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의지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