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준설땐 수질 정화기능 상실"

입력 2009-06-26 10:15:37

정부의 4대 강 살리기 사업 핵심 부분인 낙동강 바닥 준설과 관련, 식수 오염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시민환경단체들뿐만 아니라 최근엔 정부 일각과 지방자치단체도 환경훼손, 식수오염 등을 이유로 비판적인 의견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대구시는 준설을 하게 되면 바닥에 가라앉은 부유물질이 물을 흐리게 해 식수 오염, 환경훼손이 예상되고 공사로 인한 진흙 발생으로 정수처리의 어려움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낙동강에서 식수의 80%가량을 취수하는 대구시는 당장 낙동강 바닥 준설 작업이 이뤄지면 강 바닥 밑에 가라앉은 각종 오염물질이 물과 섞이는데다 공사로 인한 흙탕물로 정수처리의 어려움을 겪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대구시의 한 관계자는 "진공흡입 등 최신기법을 활용하더라도 처리되지 못한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물을 수돗물로 활용하려면 정수처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걱정했다. 대구시는 낙동강 수계에서 하루 89만t의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다.

정부 내에서도 준설에 따른 환경훼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낙동강 전체 수계를 준설할 경우 (하천 생물들의) 서식 공간이 훼손돼 생태계 교란이 불가피해 낙동강 전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준설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을 최근 국토해양부에 전달했다.

환경청은 "낙동강 전 구간에 걸친 연속적인 준설 지양과 생태계를 배려한 단계적인 준설계획을 수립·제시해야 한다는 보완의견이었을 뿐"이라고 밝혔지만, 낙동강의 수심(水深)을 4~11m로 유지하기 위해 강의 중심선을 따라 300~500m 폭으로 준설하려는 국토부의 계획에 사실상 이견을 표명한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낙동강에서 4억4천만㎥를 준설해도 진공흡입식 공법을 활용해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었지만 정부 내에서 준설이 하천생태계를 파괴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인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낙동강유역 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 검토과정에서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을 보존하기 위해 일괄 준설하면 안 된다는 협의 의견을 국토부에 전달한 것이지, 준설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류승원 회장은 "준설을 하게 되면 생물들이 사는 강바닥 모래층(물길 지표층)이 훼손돼 생물의 서식환경이 파괴될 뿐 아니라 하천 정화기능이 마비된다"며 "특히 가뭄 때 강 바닥의 물 저장기능을 파괴해 더 큰 환경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낙동강 유역 1천만명의 식수를 담보로 일부 대기업 건설사들에 혜택을 주려 한다는 극단적인 비판까지 제기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