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퇴진·조기 전당대회' 밀어붙이기

입력 2009-06-08 09:53:54

여권 내 쇄신 논란의 핵심은 현 지도부 조기 퇴진과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기조 전환과 인적 쇄신 등도 주요 논점 중의 하나지만 쇄신특위와 당내 소장파 및 당 지도부, 친박계 등 이해 당사자들의 관심은 지도부 사퇴 여부로 집중되고 있다.

박희태 대표는 7일 '큰 틀의 화합'을 전제로 10월 전 조기전당대회 개최라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큰 틀의 화합'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간의 회동을 통한 대화합을 의미한다. 그는 "화합하지 않으면 10월 재·보선이나 지방선거에 나가봐야 소용이 없다"며 "지금 당장 전대를 하면 화합이 아니라 분열의 전대가 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쇄신파는 8일을 시한으로 지도부의 즉각적인 사퇴를 주장하며 버티고 있다. 난국 돌파를 위해서는 그 방법밖에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쇄신특위 등 조기 전대론자들은 연판장 돌리기와 농성 등 실제 행동에 들어가겠다는 뜻도 밝혔다.

여기에 정몽준 최고위원이 7일 "화합책이 나올 때까지 손 놓고 있는 것은 무책임하다"면서 "당원의 73%가 조기 전대를 원한다고 한다"며 조기전당대회 개최 주장에 가세해 관심이다. 박근혜 전 대표가 나서든 나서지 않든 간에 당권 경쟁에 뛰어들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받아들여진다. 정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먼저 자진 사퇴할 가능성이 있느냐'고 묻자 "최고위원들이 행동 통일을 한다고 하는데 그게 말이 되느냐"고 즉답을 피했다.

정두언 의원 등 친이계 일부의 움직임도 변수다. 정 의원은 조기 전대에 반대하는 친박계를 겨냥, "친박계가 지도부를 감싸고 도는 것은 지금과 같은 '적대적 동거'를 연장하면서 당을 고사(枯死)시킨 뒤 '땡 처리'를 통해 접수하겠다는 것 아니냐"며 비난했다. 이번 주가 박희태 체제 퇴진 여부의 분수령인 셈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