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친인척 관리에 '자신감'

입력 2009-04-14 09:32:25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가족들이 잇따라 검찰에 소환되면서 권력의 최정점인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가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5공 이후 대통령의 친인척 비리가 지겹도록 반복되면서 이명박 정부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우려도 결코 적잖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최근 정례 브리핑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와 관련해 "지난번에 한 번 말썽이 난 이후 많이 강화해서 하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말썽'은 지난해 8월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인 김옥희씨가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과 관련, 거액의 뇌물 수수로 사법처리된 사건이다.

현재 대통령 친인척 관리는 청와대 민정수석 산하 민정1비서관실에서 전담하고 있다. 검찰과 경찰 등에서 파견된 7∼8명의 행정관으로 '친인척 관리팀'을 구성해 친인척을 지켜보고 있다. '관리 대상'은 대략 1천200명쯤. 범위는 이 대통령의 친가 쪽 8촌 이내와 외가 쪽 6촌 이내, 김윤옥 여사 쪽 6촌 이내다.

하지만 이 많은 인원을 청와대에서 일일이 체크하기는 어려워 일선 관리는 경찰이 담당하고 있다. 청와대에서 관리 대상 명단을 경찰청으로 보내면 주거지별로 관할 경찰서 정보과가 맡아 이들의 동향을 점검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직계 가족들의 일탈을 막기 위해 대통령이 집권 초부터 직접 나름의 조치를 해 왔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의 외아들로 미혼인 시형(31·사진)씨가 대표적 케이스로 꼽힌다.

지난해 2월 청와대 측은 "시형씨가 이 대통령이 과거에 살았던 논현동 자택에서 둘째 누나 부부와 생활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시형씨는 처음부터 관저에 입주해 살고 있다. 밖에서 홀로 생활하는 아들이 괜한 오해나 구설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봐 이 대통령이 관저 생활을 강하게 권유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시형씨가 지난해 한국타이어에 입사할 때도 "어디를 보내도 문제가 될까 싶어 가장 안전한 곳으로 보냈다"고 말한 적이 있다. 시형씨가 다니는 회사는 이 대통령의 셋째 사위인 조현범(37)씨가 부사장을 맡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