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을 모았던 사상 최대의 추가경정예산안이 28조9천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 정부는 추경안을 편성하면서 초점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거듭 강조해왔다. 그러나 추경안의 실제 내용은 그와 다소 거리가 있다.
우선 28조9천억 원 가운데 11조 원은 올해 경기예측 실패에 따른 세수결손 보전을 위한 것이다. 나머지 18조 원만이 경기 진작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비이다. 결국 전체 추경예산 가운데 42% 정도만이 순수한 세출 증가분이다. 이 중 일자리 창출 부문에 투입되는 예산은 3조~3조5천억 원으로 추경 전체의 10% 남짓밖에 안 된다. 게다가 일자리 창출 사업의 내용도 초'중'고교 학습보조 인턴교사 채용(2만5천 명), 대학 조교 채용 확대(7천 명), 공공기관 인턴 채용(4천 명), 지방대 졸업자 일자리 확충(7천500명), 실업 가장 대상 공공근로사업 시행(40만 명) 등 고용기간이 4~10개월 정도인 임시직 성격의 일자리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이런 정도의 대책으로는 일자리 대란을 잠재우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경기 악화로 정규직 등 '좋은 일자리'가 급속히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일자리 대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좋은 일자리는 경제 전체에 활력이 돌 때 기대할 수 있는 것인 만큼 현재로서는 정부가 단기적인 일자리라도 많이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문제는 단기적인 일자리라도 투입되는 재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효율적인 집행방안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쓰레기 줍기 식의 공공근로사업은 안 된다는 것이다. 또 고용안정이 정착될 때까지 단기 일자리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일자리 나누기, 고용주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통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다양한 고용 창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