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용산 참사, 설 이전 수습" 총력

입력 2009-01-22 10:00:08

여권이 서울 용산참사에 대해 조기수습 쪽으로 방향을 잡고 후속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진상조사 때문에 수습에 실기(失機)했다가는 설 연휴 민심악화를 시작으로 2월 임시국회 입법전쟁의 주도권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설연휴 바로 뒤의 4월 재보선 정국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2년차 구상이 뿌리째 흔들리는 사태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직까지 청와대와 한나라당 등 여권의 수습원칙은 '선 진상조사 후 문책'이지만 이 원칙에 반드시 얽매이지는 않겠다는 뜻도 보이고 있다. 이번 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의 조기 사퇴 방침이 이를 방증한다. 현재 이 대통령의 경찰청장 내정 철회와 자진사퇴 두 가지 방안이 검토 중인데 후자가 더 유력하다.

구체적인 잘못이 드러나지 않을 경우, 자신이 선택한 사람을 쉽게 버리지 않는 이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을 감안하면 이는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여권이 이번 '용산참사'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설 연휴 전까지 신속하게 공식적인 진상규명이 됐으면 좋겠다"며 설 연휴 이전에 진상조사와 책임자 문책이 이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박 대표는 "설날 민심이라는 것은 전국적으로 급하고 진하게 확산될 수 있다"며 조기수습하지 않을 경우, 민심이 악화돼 정국 주도권을 상실할 수도 있다는 점을 재인식시키면서 정부 측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여권은 김 청장을 조기사퇴시키는 선에서 책임소재 논란을 매듭짓고 야권이 주장하는 국정조사 요구와 원세훈 국정원장 내정자에 대한 사퇴 공세에 역공 작전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엄정한 법집행을 강조하면서 용산참사의 배후세력에 대한 사법처리 등의 조치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사태의 수습방안의 하나로 이 대통령이 행정안전부 장관 등 후속 개각에 정치인을 기용할 가능성이 높아져 주목되고 있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이번 개각에 대한 한나라당의 불만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는 입장이다.

당초 이 대통령은 당 출신인사의 입각에 대해 "이번에는 어렵다"며 거절했지만 사태수습을 위해서는 정치인 출신이 필요하다는 당의 요구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특히 행안부 장관은 전문성보다는 정치적 판단 능력과 균형 감각을 갖춘 인사를 필요로 하는 만큼 정치인 출신 인사를 굳이 배제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허태열 최고위원과 안경률 사무총장, 안상수 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