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공급 수돗물에서조차 기준치를 넘어서는 단계로까지 다이옥산 오염 사태가 악화됐다. 이 고약한 상황은 주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있기까지 하다. 상당수 시민들이 오염 사실을 알면서도 그 물을 마시지 않을 수 없는 처지에 든 것이다.
이것은 분명 대구 상수도 공급체계에 존재할 수 있는 중대한 결함을 알리는 경고다. 낙동강에 원수 조달을 지나치게 의존하다 보니 빼도 박도 못하게 덜미가 잡힌 꼴이 된 것이다. 너무 많은 요소들이 낙동강물을 위협하는데도 그렇다. 2006년 7월의 퍼클로레이트 사고, 2008년 3월의 김천 코오롱 페놀 사건, 지난달의 고령 골재선 기름유출 사고 등 근래 문제된 물질들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작년 10월 한 조사에서 대구 수돗물 수질이 전국 대도시 중 최악으로 나타났던 것도 원수에 불순물질이 많아 초래된 결과였다.
갖가지 오염사고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려면 응급으로나마 동원 가능한 취수원 다변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공산호는 아예 상수원에서 제외시키려는 움직임까지 있어 왔을 뿐 아니라, 최근엔 그 상수도보호구역을 거의 전부 해제해 과연 수질보전이 가능할지 걱정이다. 가창호 또한 정수장 폐쇄가 예정돼 장기적으로는 상수댐으로서의 기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런가 하면 이미 7대 3 정도로 높은 낙동강 의존도는 대용량의 문산정수장 추가 가동으로 더더욱 높아질 소지가 다분하다.
구미지역 합섬업체들의 다이옥산 방류를 금해야 한다는 등등의 낙동강 대책과는 별도로 점검돼야 할 대목이 바로 이것이다. 대구시 수도정비 기본계획 변경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니, 그 완성 기한을 늦추는 일이 있더라도 시민 안전 보장을 위한 더 깊은 고려를 선행시켜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