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협위원장, 현역의원만 하란 법있나"

입력 2009-01-10 05:39:16

한나라당 원외당협위원장들이 '반란'을 꾀하고 있다.

지난해 말 한나라당은 현재 원외당협위원장과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이 병존하고 있는 지역의 당협위원장 자리에 현역의원을 앉힌다는 내부방침을 정했다. 당원협의회(당협) 위원장은 통상 현역의원이 맡고 있지만 이처럼 원외위원장과 현역의원이 같은 지역구에 병존하게 된 것은 지난해 4·9총선에서 당 공천에 탈락한 현역의원이나 정치신인이 친박연대 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대거 당선된 뒤 한나라당에 재입당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당협위원장 교체 방침을 정하자 원외위원장들은 오는 20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전체 모임을 갖고 '한나라당 원외당협위원장 협의회'(가칭)를 출범, 조직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협의회에는 100명의 원외위원장 중 90여명이 참여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앞서 지난 6일 여의도당사에서 예비모임을 갖고 김희정(부산 연제) 전 의원과 권용범(대구 달서을) 위원장 등 각 권역을 대표하는 5명의 공동대표와 40여명의 운영위원을 선정, 원외위원장들의 목소리를 박희태 대표 등에 전하기도 했다.

군위·의성·청송의 김동호 당협위원장은 이와 관련, 9일 "협의회가 출범하면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당의 관심을 촉구할 것이지만 1차적 관심사는 현역의원과 원외위원장이 공존하고 있는 지역의 당협위원장 교통정리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며 "중앙당의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겠지만 민주적 방식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역의원이 당연히 당협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면서 "공동으로 당협을 운영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경선을 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해 7월 전당대회에서 박희태 대표가 원외위원장들에 대해서도 배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껏 아무것도 없다"고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협의회에 참여하는 원외위원장들의 입장이 같지는 않다. 당 정책실장을 맡고 있는 유재한(달서병) 위원장 같은 인사와 석호익(고령·성주·칠곡) 위원장 등 공직 출신들은 다소 소극적이다. 공기업 등으로 진출하려는 원외위원장도 적지않다.

이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에 당협위원장을 물려받을 입당파 의원들은 언급을 자제한 채 관망자세다. 현재 대구경북에서는 서구(홍사덕 의원-이종현 위원장)와 달서갑(박종근-홍지만) 달서을(이해봉-권용범) 달서병(조원진-유재한) 안동(김광림-허용범) 구미을(김태환-이재순) 상주(성윤환-손승태) 고령·성주·칠곡(이인기-석호익) 군위·의성·청송(정해걸-김동호) 등 10곳이 현역의원과 원외위원장이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