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기업체 가동률은 더 떨어지는데도 지난 연말까지 북새통을 이루던 노동부 고용유지지원금 창구는 오히려 한산해졌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사업주가 근로자를 내보내지 않는 것'이 전제가 돼야 받을 수 있는데, 감산·일시 휴업 등으로 직원들을 쉬게 하면서도 노동부에 지원을 요청하지 않는 것을 두고 근로자들은 조만간 연쇄적인 감원사태가 시작될 것이라는 예비신호로 여기고 있다. 이런 예상이 현실화된다면 감원시점은 설 연휴를 보낸 뒤인 2월중이 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포항시와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동국제강 등 대기업들이 2, 3개월째 10∼30%가량 감산중인 가운데 조선 관련업 등 극히 일부를 뺀 포항공단 업체들의 평균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정상 수준의 60%와 5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우량기업으로 평가받던 S·J사와 또 다른 S사 등 일부 기업은 연말연시에 걸쳐 2주간 휴업한데 이어 설연휴를 1주일간으로 늘려 잡는 것을 검토하는 업체도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전사적인 장기휴무 대신 설연휴에 붙여 연월차 휴가 사용을 권장하는 회사들도 많아, 포항공단의 1월 한달간 실제 가동·생산 실적은 사상 최저치로 떨어질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포항시청 관계자는 "벌써부터 한계상황을 호소하는 기업들이 잇따르고 있어 조만간 고용구조 조정 사태를 피하기 힘들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기업들의 이처럼 다급한 사정과 달리 지난 연말까지 폭주·급증하던 노동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상담·지원 건수는 줄어 포항의 경우 12월에는 43개사가 신청을 했으나 올 들어 현재까지는 10개사에 그쳤다. 또 상담건수도 지난달 하루 평균 25건에서 올 들어서는 20건 이내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포항공단 한 업체 대표는 "지원금을 받으면 서너달은 버티겠지만 현재의 위기가 간단하게 극복가능한 것이 아니어서 설을 쇠고 난 뒤 아예 구조조정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다른 한 대기업 임원도 "중소기업은 필수인원으로 조업하는 탓에 감원 대신 지원금을 받으며 총원(總員)을 유지해야 겠지만 상대적으로 여유인력이 많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은 감원이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말해 감원이 현실화될 경우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고액연봉기업에서 먼저 시작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예상은 대기업이 많은 포항의 1월 현재 고용유지지원금 신청업체가 10개사에 그친 반면 중소기업이 밀집한 경주지역에서는 무려 76개사에 이르는데서 입증되고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