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장묘 문화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화장률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화장률이 52.6%로 매장률(47.4%)을 처음으로 앞지른 이후, 2006년도에는 56.5%로 상승한데 이어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제는 화장(火葬)이 대세
대구 명복공원(구 대구장묘센터)에서는 밀려드는 화장 건수를 감당하기 벅찰 정도다. 이곳 홍오득 씨는 "지난 6월 화장료가 크게 오르며 약간의 감소세를 보였지만 요즘은 하루 평균 25~28구의 시신을 화장할 정도로 늘었다"고 밝혔다. 대구지역 사망자 중 명복공원에서 화장된 시신은 2006년 6천644명에서 2007년 6천764명으로 조금 늘었다. 올 상반기에만도 모두 3천585구가 화장됐다.
경북 칠곡 현대공원묘지의 경우 1999년 21기로 시작한 이곳의 납골묘는 2002년 이후 매년 100기 이상을 안치, 올해 말이면 1천200기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표)
인식의 전환은 더욱 빠르다. 올 5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전국의 성인 남녀 1천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4%가 매장보다는 화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사후 관리가 편하기 때문(41%)'이라는 게 가장 큰 이유였다. 화장 다음으로는 납골당 안치가 30%, 매장 15%, 납골묘 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평균 이하
하지만 대구의 화장율은 다른 대도시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2006년 통계에 따르면 대구의 화장율은 56.3%로 서울 68.2%, 부산 77.7%, 인천 72.4%에 비해 크게 뒤처졌다. 경북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경북의 2006년 화장율은 44%. 전국 평균인 56.5%보다 훨씬 낮다.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박태호 실장은 "보수적인 성향이 강할수록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으며, 인근에 묘터를 찾기 어렵고 묘지를 돌볼 후손이 많지 않은 대도시일수록 화장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장묘의 본질은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상징성'에 있다는 점을 새긴다면 현재 불거지고 있는 매장과 화장에 대한 논란을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