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지방 대도시 활성화' 방안이 포함됨에 따라 거래실종 현상을 빚고 있는 대구 등 지방 부동산시장에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8·21 대책'으로 수도권과 동일하게 지방 부동산시장을 옥죄고 있던 각종 규제가 사라져 올 가을부터 침체된 시장이 서서히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시했다. "정부 대책이 주택거래 활성화에 맞춰져 있지만 구매심리를 살려 장기적으로는 미분양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8·21 대책 중 지방 부동산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양도세 중과 대상 축소. 건설 및 부동산업계에서 그동안 꾸준히 요구해온 사항이다.
1가구 2주택자 양도세 중과(50%) 대상이 1억원 미만에서 3억원 미만으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대구지역 대다수 1가구 2주택자가 양도세 부담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 관계자는 "공시가격으로 3억원 미만 공동주택이 대구에는 90%에 이르고 있으므로, 대다수 1가구 2주택자가 세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3억원 미만 주택을 판 뒤 양도차익이 1천만원 미만이면 9%, 1천만~4천만원은 18%, 4천만~8천만원은 27%, 8천만원을 초과하면 36%의 기존 양도세 세율을 적용받는다. 예를 들어 공시가격으로 4억원과 2억원짜리 아파트 두채를 가진 1가구 2주택자가 2억원짜리 아파트를 팔아 4천만원의 양도차익이 발생한 경우 예전에는 2천만원을 세금으로 냈지만 앞으로는 예전과 같이 18% 세율을 적용해 720만원만 납부하면 된다.
부동산중개업소인 대구 수성구 부동산하우스 이성희 소장은 "그동안 매수자나 매도자 모두 양도세 부담으로 집을 팔거나 구입하는 데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이번 양도세 중과 대상 축소로 거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분양 아파트 환매조건부 매입과 각종 세제 혜택이 있는 임대사업자 조건 완화 조치는 미분양 해소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2조원의 자금으로 지방 대도시 준공 이전 미분양 아파트를 75%선에서 환매조건부로 매입한 뒤 준공 이후 건설사가 원하면 경비와 이자를 더해 건설사에 되팔 계획이다.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 정화섭 부장은 "이번 조치로 대구에서 2천~3천가구 정도만 환매조건부로 매입되더라도 시장에서는 공급물량을 줄이고 건설사에는 자금난을 덜어주는 두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시군구에 소재한 5가구 이상을 임대해야 하는 임대사업자 조건을 1가구 이상으로 대폭 줄이고, 임대기간(10년에서 7년)과 주택면적(85㎡에서 149㎡)도 완화함에 따라 지역뿐 아니라 수도권 여유자금도 지방 미분양 구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다 올 상반기 정부가 지방 대도시에 대한 전매 규정을 완화한 만큼 대구와 부산 등 지방 대도시는 사실상 참여정부가 만들어 놓았던 '부동산 규제'에서 벗어나게 됐다.
대구시 건축주택과 김종도 과장은 "미분양 아파트 대상 확대와 취득에 따른 세제 혜택 등 미흡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8·21 대책으로 지방 부동산시장 거래 경색을 불러왔던 규제들은 상당 부분 풀렸다"며 "올가을 이후 주택 거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1가구 2주택자 양도세 경감
-중과세 면제 대상 1억원 미만에서 3억원 미만으로 상향
-적용 시기는 세법 개정안 공포일 이후 주택매도분(9월 중순 예정)
-1가구 3주택자 이상은 양도세 경감 대상 제외
▶임대사업자 요건 완화
-임대 호수 5호에서 1호로 축소, 임대 전용면적 아파트 85㎡에서 149㎡로 확대, 임대 의무기간 10년에서 7년으로 축소
-7년 임대후 매도시 종부세 비과세(내년부터 적용), 임대주택 소유시 양도세 중과 대상 제외
▶미분양 정부자금 매입
-2조원으로 지방 미분양 아파트(준공전 아파트 포함) 75%선에서 환매조건부 매입
▶건설사 세부담 완화
-주택건설사업자 사업용 토지 취득 후 5년간 비과세
-시행사 보유 미분양 아파트 5년간 종부세 비과세, 시공사가 대물변제로 받은 미분양 주택도 5년간 비과세 적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