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국현 대표 자진해 검찰 나가 疏明해야

입력 2008-08-22 10:55:25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는 '깨끗한 정치'를 기치로 걸고 정치에 발을 들였다. 기업 CEO로서 쌓아온 깨끗한 이미지를 가지고 낡은 정치판에 새바람을 불어넣겠다고 한 사람이다. 그의 말은 신선한 반향을 낳으며 지난 대선에서 선전했고 그 여세를 이어 총선에서 당선했다. 그런 그가 지금 검찰에 쫓기는 신세로 전락해 정치 탄압의 희생자인양 뻗대고 있다.

과연 그런가. 본인이 주장하는 것처럼 검찰이 자신을 죽이기 위해 소설을 쓰고 총선에서 자신에 패한 이재오 전 의원을 살리기 위해 정권이 음모를 꾸미고 있는 것인가. 문 대표가 검찰로부터 출석요구를 받고 있는 혐의는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이한정 의원으로부터 공천 대가로 6억 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허위학력 기재 및 공천헌금 제공으로 구속 상태인 이 의원 입에서 나온 얘기라고 한다. 여기에 대해 문 대표는 이 의원 공천에 관여하지 않았고 헌금 사실을 몰랐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말이 다르면 양측 주장의 진위 확인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문 대표는 자신의 주장처럼 억울하다면 검찰에 자진해 나가 증거를 대고 소명하면 그만이다. 그게 자신에 씌워진 혐의를 해소할 수 있는 떳떳한 기회다. 무엇이 두려워 검찰 소환을 9차례나 거부하는가. 이거야말로 그가 청산하자고 한 구태정치의 전형 아닌가. 어제 검찰이 체포영장을 요구하자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공안통치 운운하며 정권을 물고늘어진 것도 비리 정치인들이 막다른 궁지에서 써먹는 수법이다. 설사 누군가 반사이익을 얻는 상황이 생긴다하더라도 그건 문 대표가 자초한 것이다. 살아온 경력이 문제 투성이인 인물을 비례대표 2번에 올려놓은 것만으로도 이미 그는 '깨끗한 정치'와 멀어졌다.

국회에서는 그의 체포동의안을 놓고 여야가 맞서고 있다. 80여일 만에 겨우 정상을 찾은 국회가 다시 시끄러워질 수는 없다. 18대 들어 문 대표와 같은 케이스로 사법적 판단을 받은 전례가 있는 마당이다. 선거법 적용의 형평성 차원에서도 예외가 없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