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섬유직물업계가 대만·중국산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분연신사(POY)에 대한 반덤핑 부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덤핑 판정이 이뤄지면 POY의 수급불안으로 인한 가격폭등으로 섬유제품의 수출중단 및 연쇄도산이 우려된다는 것.
22일 대구경북섬유직물조합에 따르면 POY를 생산하는 국내업체인 동국무역과 성안합섬은 지난해 12월 대만 및 중국산 POY에 대한 반덤핑 조사신청을 냈고 무역위원회는 지난 6월 중국·대만산 POY사에 대해 반덤핑 '긍정적 예비판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무역위는 국내생산자·수입자, 대만·중국산 POY의 공급업체 등을 대상으로 현지실사 등을 거쳐 10, 11월쯤 최종판정을 내릴 예정이다.
대만 및 중국산의 국내소비 점유율은 2004년 40.5%, 2005년 40.3%, 2006년 54.6%, 2007년 상반기 54.7%로 증가추세인 반면 국내생산품의 국내소비 점유율은 2004년 54.5%, 2005년 55.0%, 2006년 40.2%, 2007년 상반기 36.1%으로 감소 추세다.
이는 POY의 국내 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 2006년 2만6천440t에 이어 지난해(1~9월)에는 2만5천942t이 부족했다. 국내 화섬업계가 설비투자를 등한시하는 대신 기본관세 및 반덤핑 관세 등 보호막에 의존한데 기인한다는 것이 지역 직물업계의 분석이다.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면 지역 직물업계는 휴·폐업 등 심각한 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대만 및 중국 수입산의 국내소비점유율이 54.7%로 적절한 수입 대체재가 없는 상황에서 현재 기본관세율 8%에 추가적으로 관세를 부담하게 되면 원자재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
지역 한 섬유업체 관계자는 "대만·중국산 POY가 반덤핑관세 부과로 수입이 불가능할 경우 제품 생산에 차질이 발생한다"면서 "저품질의 동남아산을 대신 수입하면 품질이 저하돼 직물업계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섬유직물조합은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 등에 건의문을 전달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구경북섬유직물조합 관계자는 "대만산은 국내산에 비해 품질이 우수해 국내 직물업계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수입해 쓰고 있는 상황에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 국내 섬유업계가 저질제품으로 대체를 초래해 산업 경쟁력이 떨어지고 직물산업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면서 "섬유산업발전을 위해 피해 예상업계인 중소제직업체의 입장을 고려해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은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