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통합계획
대구를 비롯한 7개 특별시와 광역시의 상수도 기관은 경영혁신 뒤 공사로 만드는 방안이 적극 추진되며, 현재 시·군이 직영하는 지방상수도가 앞으로는 권역별로 묶여 수자원공사 등 전문기관으로부터 광역단위로 관리된다.
행정안전부는 29일 대구, 서울, 부산 등 특별시와 광역시는 구조조정 등 경영혁신을 한 뒤 자율적 판단에 따라 단계적으로 공사화하는 방침을 밝혔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는 이 방침에 따라 공사화에 대비해 외국사례를 수집하는 등 준비에 나서기로 했다. 시상수도사업본부는 지금도 독립채산제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공사화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행안부는 또 지방상수도를 권역별로 광역화해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지방상수도 통합 전문기관 관리계획'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운영되고 있는 상수도사업이 계속된 적자와 전문 인력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돼 수자원공사 등 상수도 전문기관이 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상수도 관리 전문인력과 투자 부족으로 상수도망에 대한 기초적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누수로 인한 손실만 연간 5천억~8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상수도를 직영하고 있는 155개 시·군은 수계(水界)와 상수도망 등을 고려, 3~15개 자치단체를 묶어 권역별로 상수도를 광역화해 수자원공사나 지자체가 공동으로 설립한 지방공사가 관리하도록 할 방침이다.
전국 155개 시·군은 이 통합 관리계획에 따라 자율적으로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권역설정과 관리방안 등을 결정한 뒤 상수도를 전문기관에 위탁관리하도록 하게 된다.
행안부는 155개 시·군이 상수도를 광역화해 전문기관에 관리를 맡길 경우 종사인력은 2천84명 감축되고 유수율(有收率·정수장에서 생산한 수돗물 중 수도요금을 받는 물의 비율)도 75%에서 83% 정도로 높아져 향후 20년 동안 연평균 2천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