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하반기 중 전기료 두자릿수 인상방침을 밝히자 가뜩이나 원자재가와 유류가 폭등으로 신음해온 산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일부에서는 "지금까지는 제조원가 상승에 따른 제품가 인상이라는 연동제로 버텨왔지만 가격을 더 이상 올리면 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져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가 설자리를 잃을 것"이라며 국가적인 경제위기론을 제기했다.
연간 1천300억원의 전기료를 부담해온 포항공단 한 업체 관계자는 "전기료가 최소 10%만 올라도 연간 130억원이 더 지출된다"며 "가스·수도 등 정부가 '인상요인이 발생했으나 반영을 자제하고 있다'는 다른 공공서비스료까지 오르면 국내 업체들의 세계시장 경쟁력은 완전히 바닥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해 900억원을 전기료로 지출한 포항의 또 다른 업체 임원도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가격변동은 국제 시장에서 타당성을 인정받지만 전기 등 공공부문의 경우 순수 국내 문제여서 시장의 해석이 달라진다"며 "인상된 전기료 등을 제품가에 반영할 경우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 추락은 불가피하다"고 정부에 볼멘소리를 했다.
그러나 업체들은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시점이 임박했다고 보고 대책마련에 착수했거나 이미 시행 중인 에너지 절감방안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전기로와 압연공장 등 에너지 사용량이 특히 많은 부서에서 20여명을 뽑아 에너지절약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전기·산소·경유·벙커C유 등 주요 에너지원 소비현황을 분 단위로 점검·조정하는 방법으로 소비를 최소화하고 있다. 특히 전기는 '피크전력 관리제'를 도입해 정상상태보다 3~4%만 더 소비되면 설비를 세우는 등 극한관리 체제를 운용하고 있다.
동국제강·포스코 등 포항공단의 다른 대기업들도 현대제철과 비슷한 방법으로 조업현장의 에너지 사용량 최소화를 추진하는 한편 사무실 등 일반 관리부서에서도 사무실 전등과 가로등 격등제 등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 철강업체들의 경우 주에너지원이 유류가 아닌 전기여서 전기료 인상은 국내 철강업체 전체에 상당한 경쟁력 하락을 몰고올 가능성이 높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