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 주도하는 '21세기 새마을운동'이 아프리카 국가 지원 프로젝트로 공식 채택될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UNDP(유엔개발기구) 등 산하 기구들을 통해 시범 사업화시킬 의향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UN본부에서 김관용 지사와 만나 교감한 결과이다.
새마을운동은 안 그래도 저개발국 지원 프로그램으로 매우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와 있는 중이다. 우리가 과거 외국의 원조를 받아 성장해 왔으므로 이제 갚을 때가 된 데다, 단순 물적 원조가 아닌 자립 정신운동이기도 한 이 운동이야말로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으로 더없이 적절하다는 것이다.
같은 이유로 그 필요성은 국내적으로도 다시 강조되기 시작해, 지난 2월 한 조사에서는 국민 70% 이상이 새마을운동을 다시 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또한 퇴임 후 "새마을운동을 해 볼까 싶다"고 했을 정도이다.
이런 마당에 1970년 시발 시점부터 새마을운동을 선도해 온 경북이, 21세기 들어 국제 무대에서까지도 주도권을 쥐고 이 운동을 펼쳐 나가는 것은 잘하는 일이다. 구미시청 등이 이미 15년 이상 중국'베트남'동티모르'몽골 등에서 이 운동을 펼쳐온 공력이 큰 것이다. 경북도청 또한 2005년 이후 해외 전파에 본격 나선 데 이어 2006년 취임한 김관용 지사는 이 운동을 10대 주력 사업 중 하나로 공식화하기까지 했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해외 사업이 혹여 알맹이 없는 전시행사가 될까봐 경계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대외 사업에는 지방보다는 중앙정부 몫에 가까운 성격도 없잖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들을 충분히 감안해, 중앙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이끌어내야 해외 새마을운동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