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분야별 분산 배치로 가닥…"대구경북 MB공약 기대 허탈"
정부가 첨단의료복합단지조성과 '한국뇌연구원'(가칭) 설립 계획을 전면 수정할 방침이어서 이들 프로젝트 유치에 주력해온 대구경북은 적잖은 타격과 함께 유치전략을 바꿔야 할 입장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노무현 정부시절 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이상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등 범정부적으로 아시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R&D 허브' 구축을 위해 추진된 프로젝트로 5조6천억원이 투입되며 지난 2월 특별법안이 국회 통과됐다.
한국뇌연구원도 뇌연구촉진기본계획에 따라 옛 과기부가 3천700억원을 투입, 뇌신경생물·뇌인지·뇌신경계·뇌공학 등에 대한 연구와 산업화를 위해 설립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은 지난해부터 지역의 앞선 의료인프라를 활용, 포항과 대구권에 첨단의료복합단지와 뇌연구원을 유치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해왔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대구의 대선공약으로 채택, 많은 기대를 해왔다.
하지만 정부 사업주체들이 기관통폐합되고 새 정부 들어 전문가그룹과 청와대 등이 사업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정부는 이들 프로젝트에 대한 설립계획을 전면 수정할 방침이다.
최근 열린 청와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도 대다수 위원들이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한 계획수정 필요성을 제기했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정부 의료프로젝트를 수립하는 전문가 그룹에서도 문제점을 제기해왔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천연물·합성·바이오 신약개발, 첨단의료기기, 임상시험센터, 연구기관 등을 한 곳에 집중하는 '단지'개념보다 기존 인프라를 활용, 경쟁력있는 지역에 특화시키는 '분산배치'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한국뇌연구원도 별도 기관을 설립하기보다는 기존 연구기관을 활용해 연구인력을 확보해주고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단지 개념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준비해온 대구경북은 의료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수정이 시급하다. 지역 전문가들은 대구지역은 뇌연구원과 의료서비스산업 및 임상중심으로, 포항권은 의료기기와 용품 중심의 R&D 부문으로 특화해 유치전략을 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