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들이 조기에 해결돼야 할까. 실질적인 현안은 뭘까. 구미·김천·안동·영주 등 경북도내 9개 상공회의소를 대표하는 경북상의협의회(회장 최영우 포항상의회장)가 최근 경북 지역 경제 현안을 정리,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했다.
◆포항권=이명박 대통령의 일본 방문 때 제시된 '외국인(일본) 전용 부품소재산업단지'를 포함한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포항 오천·동해·장기면 일대에 990만㎡ 규모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해 철강특화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 첨단과학기술산업 및 부품소재산업체에 분양·임대할 수 있는 국가공단을 만들어 달라는 요구다. 경제계 인사들은 1조5천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예상되는데 이 공단만 조성되면 부지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포항 및 대구, 울산, 경주 등 인근 지역 업체들을 불러들여 포항경제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포항 동해면 석리∼흥해읍 국도 7호선으로 연결되는 28.6㎞의 국도대체 우회도로 개통도 현안으로 꼽고 있다. 동해면∼문덕∼우복∼유강∼연일∼성곡을 거쳐 신항만으로 연결될 이 도로는 우복∼유강 구간 5.5㎞가 2006년 준공한 것을 빼면 공사 진척이 더뎌 보는 이들의 힘을 빠지게 하고 있는 것.
◆구미권=구미지역 기업들은 '역차별' 때문에 울고 있다. 구미지역 경제인들은 "외국인 투자기업과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해오는 기업에 대해서는 취득세·등록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등을 완전 또는 절반 이상 감면해 주면서도 지역경제 성장에 막중한 역할을 해온 향토기업은 찬밥신세(본지 4월 11일자 16면 보도)"라며 그간의 기여도를 인정하고 역차별 및 상대적 박탈감 해소 차원에서라도 최소한 수도권에서 이전해오는 기업만큼의 세제 혜택은 줘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미 상공인들은 또 자산규모 70억원 이상 기업에 대해서는 의무적으로 회계법인 등 외부 감사를 받도록 한 현행법규로 인해 많은 중소기업들이 당기순이익의 45.5%를 외부감사 수수료로 내는 바람에 남는 것이 없다며 현행 70억원인 자산규모 기준을 150억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게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천권=김천에서는 현 정부 출범 후 '재검토', '규모축소'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는 혁신도시가 자칫 용두사미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해 당초 계획대로 진행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김천 혁신도시는 토지보상이 94% 이상 진행됐고 KTX역사건설 등 다른 지역개발 현안과도 맞물려 있어 백지화나 전면재조정 논의는 지역을 공황장애로 몰고 갈 수 있다며 '원안대로 해달라'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주권=영주에서는 지역교통망 구축을 우선과제로 내걸었다. 영주상의는 충북 도담까지인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에 경북지역 전역을 포함시켜 줄 것과 충남 당진∼울진을 연결하는 국도 36호선의 봉화 소천∼울진 근남 구간도 4차로로 넓혀 주고 2019년 완공계획도 앞당겨 줄 것을 요청했다.
◆경산권=대구도시철도 1, 2호선을 순환선으로 구축해 하양까지 연결하는 것을 최대 현안으로 내세웠다. 경산상의는 최근 착공한 대구도시철도 2호선의 영남대 구간 연장만으로는 교통난을 해소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1호선 종착역인 안심역에서 하양∼진량∼압량∼영남대를 연결하는 22.1㎞의 1, 2호선 순환선 구축이 지역경제를 살리는 최고 묘수라고 주장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