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의 힘-낙동강 水자원] (하)'물의 도시' 구축을

입력 2008-04-25 07:34:52

▲ 구미 선산읍 생곡리 일선교 일대와 고아읍 항곡리 숭선대교 인근에 들어설 예정인 경부운하 구미항 조감도.
▲ 구미 선산읍 생곡리 일선교 일대와 고아읍 항곡리 숭선대교 인근에 들어설 예정인 경부운하 구미항 조감도.

구미와 대구경북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성장동력을 낙동강에서 찾아야 한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구미 디지털산업지구와 구미5단지 조성, 낙동강 프로젝트, 한반도 대운하 등 미래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들이 전문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갖추는 등 시야를 넓혀야 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 주변의 지속적인 개발

구미시는 지난달 17일 이명박 대통령이 지식경제부 업무보고차 구미공단을 방문했을 때 5단지(990만㎡) 조성의 필요성을 건의, 적극 검토 지시를 약속받았다. 또 지난해 말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구미 디지털산업지구(623만㎡) 지정 등으로 구미시와 경북도는 구미국가공단 3천300만㎡(1천만평) 시대, 인구 70만명 시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주거·문화·교육과 산·학·연 클러스터 등 복합기능의 4단지 배후지원단지 개발 등 야심찬 전략을 세우고 있다.

◆용수 확보 및 상하수도 통합 관리

한국수자원공사는 구미의 미래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현재 건설중인 김천 부항댐·군위 화북댐·청송 성덕댐 등 3개 댐을 활용, 일일 12만2천㎥ 공급능력을 추가 확보하는 구미권 광역상수도 3단계 사업을 구체화하고 있다. 상수도 공급능력을 현재 일일 46만4천㎥에서 60만㎥까지 늘려 인구 150만명 규모가 사용가능한 수량을 확보하는 것으로, 구미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인 김천·칠곡의 발전 가속화는 물론 물관리 통합으로 안정적인 용수 공급 및 가격 인하를 이룰 전망이다. 수자원공사는 예천·고령·사천·정읍·논산·동두천 등 전국 13개 지자체의 상수도를 위탁 관리중이며, 38개 지자체와 기본협약을 체결해 상수도 위탁관리를 추진중이다.

◆관광 물류의 핵심

낙동강 프로젝트와 한반도 대운하 건설 계획에 따라 낙동강 상·하류와 한강의 교류 중간지점인 구미는 수변공간 조성을 통한 관광휴양벨트 형성, 내륙운하 물류기능 수행 등 수자원 활용의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따라서 물을 활용한 산업+휴양+물류 등으로 물의 도시 브랜드를 구축, 사업으로 연결하는 구상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또 비상급수원 확보와 낙동강 프로젝트, 한반도 대운하 등 미래사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구미 금오지·김천 오봉지 등을 다목적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수자원공사는 시화지구 개발사업과 해양 엑스포를 유치한 여수의 국가공단 및 순천 주암댐·장흥댐 등을 성공적으로 조성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