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부]내각의 연령

입력 2008-02-20 10:59:37

지난 2005년 8월 청와대 비서실은 내각이 보다 젊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지도자 분석' 보고서를 통해 참여정부의 각료 평균연령이 56.8세로 OECD 국가 각료 평균연령 52.7세에 비해 상대적 고령이라고 지적했다. 비서관실 조사에 따르면 OECD 30개국 중 고령 내각 순위는 스위스 62, 이탈리아 59.6, 일본 59.2, 미국 57세였고 그 다음이 한국으로 다섯 번째였다.

특히 40대가 한 명도 없었다. 당시 연령별 분포는 50대 80.0%, 60대 20.0%가 전부였다. 참여정부 출범 첫 내각에서는 강금실 법무, 김두관 행정자치,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 등 3명이 있었으나 몇 차례 개각을 거치는 과정에서 40대가 남아 있지를 못한 것이었다. 이에 대비해서 OECD 국가 각료들은 50대 44.5%, 40대 24.2%, 60대 21.6% 순으로 연령대가 고루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이 느닷없이 국가별 각료 분석 보고서를 내놓은 배경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청와대가 386세대를 전진배치시키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었다. 40대 장관 기용의 필요성을 내세워 40대인 386세대의 내각을 비롯한 공직 진출 기회를 늘리려는 기도로 봤던 것이다. 논란이 일자 청와대는 홈페이지에 공개한 보고서내용을 일주일 만에 삭제하는 작은 소동을 벌였다. 그 때문은 아니겠지만 노무현 정부에 이렇다 할 40대 각료 기용은 그 이후에도 없었다.

40대 장관을 가장 많이 기용한 정권은 전두환 정부로 29명에 달했다. 김대중'노태우 정부의 3명, 김영삼 정부의 5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고건 교통, 서석준 상공부장관이 42세에 국무위원이 됐다. 이 같은 전두환 정부의 파격적인 40대 발탁은 구정치인과 관료를 도태시키기 위한 정략이 깔려 있었지만 당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결정적인 작용을 했다는 분석도 없지 않다.

이명박 차기 정부에 40대 각료가 없다. 70대 총리에 각료전원이 50, 60대다. 그래서 유신세대 내각이라는 말이 나왔다. 건강연령이 늘어난 시대에 연장자의 전면배치는 노인복지, 균형 있는 국민복지의 한 전형일지 모른다. 다만 이명박 정부의 40대 전진배치론은 언제쯤 나올지 관심사다.

김재열 논설위원 soland@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