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국정과제 후속대책 마련 착수

입력 2008-02-11 09:40:10

지역 국책사업 '굳히기'

이명박 정부가 5대 국정지표, 21대 전략, 192개 국정과제를 확정함에 따라 대구시·경북도는 국정과제와 연계한 지역 대형 사업과 대선공약 실현을 위한 연구분석, 로드맵 작성, 대정부 협의 등 후속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관계기사 3면

시·도는 지역 주요 프로젝트에 대해 차기정부에서 일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참여자와 팀장급 전문가 그룹을 상대로 사업설명과 자료제공을 하고 차기정부 예산 로드맵을 작성 중인 기획예산처와도 사업설명 및 조율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는 지역 주요사업이 명시적인 국정과제로 채택되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이 있지만 국가과학산업단지 조성, 낙동강운하 사업, 영남권 신공항건설 등에 역점을 두고 인수위와 정부 창구를 통해 차기정부 지역사업으로 굳힌다는 목표다.

특히 시장경제 중점과제로 '지식기반 서비스산업'과 '신성장동력 의료산업 육성'이 선정돼 3조 원이 투입되는 첨단 의료복합단지 유치를 포함한 지식창조형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관련 사업의 성공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길 대구시 정책기획관은 "인수위 팀장급을 상대로 수차례 지역 주요 사업을 설명했으며, 다시 한번 인수위 참여자와 정부를 상대로 지역사업을 차기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경북은 동해안해양개발 프로젝트 및 에너지클러스터 조성, 낙동강·백두대간 프로젝트 등 도의 주요 전략과제가 새 정부 국정과제로 거의 명시적으로 포함돼 국책사업 선정 및 지원이 확실시될 것으로 보고 추진 로드맵을 짜고 있다.

도는 '세계화를 이끌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조성'과 관련, 포항·경주권을 중심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립 등 첨단과학인프라 조성과 국제사이언스빌리지 계획을 마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추진키로 했다.

또 식품산업 육성의 경우 대구경북 광역식품클러스터를 추진 중에 이미 대선공약으로 선정됐고 에너지산업 집중육성과 해양산업개발, 신재생에너지 부문과제도 동해안해양개발 프로젝트, 에너지클러스터 조성 등과 관련, 경북도를 겨냥한 국정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김호진 경북도 정책기획담당은 "친환경·친문화적 한반도 대운하 건설, 내륙과 연안을 잇는 광역 생태 축 조성, 전국 생태문화 탐방로 조성 등은 도의 낙동강 및 백두대간 프로젝트,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등 지역 전략사업과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상의가 건의한 기반시설부담금 폐지, 주택거래세 인하 등도 이번에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김교성·이춘수·김재경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