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재고량 증가…산지 가격 상승세
산지 쌀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설 이후에는 한바탕 요동칠 것이라는 게 농업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농업관측정보센터는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로 산지 쌀값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20일 현재 산지 벼의 전국 평균 가격은 5만 769원(40kg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상승했다고 밝혔다.(표 참조)
산지 쌀 가격 또한 15만 2천892원(백미 80kg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의성지역 농협 RPC(미곡종합처리장)에 따르면 산지 벼 값은 5만 2천 원선에 거래되고 있어 설 이후 산지 쌀값이 오를 전망이다.
이처럼 산지 쌀값이 꿈틀거리는 원인은 RPC 등 산지 유통업체들의 지난해 수확기 벼 매입량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감소한 데 따른 것. 2007년 12월 말 현재 산지 유통업체들의 벼 매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한 237만 8천t으로 집계됐으며, 반면 농가 재고량은 전년 대비 11.5% 늘어났다.
이와 관련, 의성 안계농협 윤태성 조합장은 "농가 재고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지난해 쌀 작황이 부진하자 농가들이 기대심리 등으로 출하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2008양곡연도 민간부문 시장공급량은 쌀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17만 3천t 감소한 369만 5천t으로, 단경기 쌀 가격은 15만 5천~15만 9천 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08년산 벼 재배의향면적이 전년대비 0.7% 감소한 94만 3천ha로 전망했다.
군위 의성·이희대기자 hdlee@msnet.co.kr
◆단경기란=농업 전문가들은 10∼12월까지 3개월을 수확기로 구분하고, 햅쌀이 생산되기 전인 5∼8월까지 4개월을 단경기로 표기하고 있다. 계절진폭은 수확기와 단경기의 가격 차이를 말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